논문 상세보기

검정콩 수집지역과 성숙기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 변이 KCI 등재

Variation of Anthocyanin Contents according to Collection Site and Maturity in Black Soybe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04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국내수집 검정콩 유전자원의 안토시아닌 함량을 평가 및 선발함으로써 안토시아닌 고함유 신품종 육종 모재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시재료는 농촌진흥청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원과로부터 분양받은 274 수집계통(2002년 38계통, 2006년 236계통)과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에서 자체 수집 보관하던 18 수집계통이었으며, 2006년도에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 전작포장에서 재배하고 수확한 후 성분을 분석하였다. 검정콩 종피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주성분은 cyanidin-3-glucoside(C3G), dephinidin-3-glucoside(D3G), petionidin-3-glucoside(Pt3G) 등이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수집지역간의 총안토시아닌 함량은 충남 수집종이 평균 13.75±4.709mg/g 으로 가장 높았고, 총안토시아닌 함량별 유전자원 분포는 9.1~12.0mg/g 범위가 84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6.1~9.0mg/g 65종, 12.1~15.0mg/g 41종, 15.1~18.0mg 39종 순이었다. 2. C3G는 3.1~6.0mg/g 범위가 116종으로 가장 많았고, D3G와 Pt3G는 0~3.0mg/g 에서 각각 288종, 268종이었다. 이중 D3G와 Pt3G가 결핍된 유전자원은 각각 4종통, 24종이었다. 3. 착색기~성숙기 소요일수에 따른 총안토시아닌 함량은 착색소요일수 16일 이하에서는 7.82±4.304mg/g 이하였으나, 35일 이상에서 13.09±4.190mg/g 으로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4. 성숙소요일수에 따른 안토시아닌 함량은 소요일수가 길어질수록 높아져 86일 이상에서는 15.98±3.935mg/g 이었다. 5. 수확시기에 따른 총안토시안닌 함량은 9월 하순부터 높아져 10월21일 이후 수확된 유전자원에서 15.75±3.402mg/g 으로 가장 높았는데, 개별 안토시아닌에서도 C3G와 D3G는 같은 경향이었다.

Anthocyanin contents of black soybean were analyzed for development of superior breeding lines with high anthocyanin contents. Total 292 genotypes of black soybean collected through the whole country were analyzed by HPLC in which C3G (Cyanidin-3-Glucoside), D3G (Delphinidin-3-glucoside), and Pt3G (Petunidin-3-Glucoside) were detected main anthocyanin pigments and each pigment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otypes. C3G content showed the highest value in all materials and its variation was also wide, whereas D3G and Pt3G were not detected in 4 and 24 genotypes. Mean value of C3G, D3G, and Pt3G contents were 8.05~pm4.225 , 1.80~pm0.854 , and 1.15~pm0.781~;mg/g , respectively. In case collected sites, genotypes collected in Chungnam region were higher the anthocyanin contents than other collections, which was 13.75~pm3.861~;mg/g . It might be concluded that it takes more than 36 days for anthocyanin accumulation since beginning of seed-coat pigments formation, in that case it showed 13.09~pm4.190~;mg/g. . Also total anthocyanin contents were present higher concentration in seed coat as maturation period was longer from flowering stage.

저자
  • 이은섭(경기도농업기술원)
  • 이용선(경기도농업기술원)
  • 김희동(경기도농업기술원)
  • 김용호(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