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삼의 재식 위치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 차이 KCI 등재

Difference of the Ginsenosides Contents According to the Planting Location in Panax ginseng C. A. Mey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07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5 년근의 인삼에서 차광시설의 재배위치에 따른 사포닌의 함량 차이를 검정하였다. 재식 위치별 전행 (1~2행) 에서 연풍과 재래종 주근의 총 사포닌 단위함량은 각각 15.01 mg/g, 21.79 mg/g, 지근은 각각 35.93 mg/g, 43.32 mg/g, 세근은 각각 87.85 mg/g, 105.51 mg/g이었다. 중행 (3~5행) 에서 연풍과 재래종 주근의 총 사포닌 단위함량은 각각 18.73 mg/g, 23.19 mg/g, 지근은 각각 44.92 mg/g, 43.50 mg/g, 세근은 각각 92.97 mg/g, 110.70 mg/g이었다. 후행 (6~7행) 에서 연풍과 재래종 주근의 총 사포닌 단위함량은 각각 21.88 mg/g, 26.68 mg/g, 지근은 각각 38.41 mg/g, 44.89 mg/g, 세근은 각각 101.03 mg/g, 107.06 mg/g이었다. 재배위치에 따른 연풍과 재래종의 주근, 지근 및 세근의 총 사포닌과 주요 사포닌 함량의 차이는 연풍의 주근을 제외하고 모든 부위에서 크지 않았다. PD/PT 비율은 전행 인삼은 중행과 후행에 비하여 낮았으며 뿌리의 부위별로도 차이가 컸다.

The difference of ginsenosides content according to placement of ginseng planting (line) under shading net in 5-year-old ginseng roots were examined. The total saponin (Rb1 , Rb2 , Rc, Rd, Re, and Rg1 ) contents were 15.01 mg/g and 21.79 mg/g in the main roots, 35.93 mg/g and 43.32 mg/g in the lateral roots, 87.85 mg/g and 105.51 mg/g in the fine roots for the front 1st~2nd lines in Yunpoong and Landrace variety (purple-stem variant), respectively. In the middle 3rd~5th lines the total saponin contents were 18.73 mg/g and 23.19 mg/g in the main roots, 44.92 mg/g and 43.50 mg/g in the lateral roots, 92.97 mg/g and 110.70 mg/g in the fine roots in Yunpoong and Landrace variety, respectively. In the rear 6th~7th lines the total saponin contents were 21.88 mg/g and 26.68 mg/g in the main roots, 38.41 mg/g and 44.89 mg/g in the lateral roots, 101.03 mg/g and 107.06 mg/g in the fine roots in Yunpoong and Landrace variety,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in total and individual ginsenosides content in the main, lateral and fine roots among the lines were not significant but total ginsenosides contents in the main roots were different in case of Yunpoong variety. The ratios of protopanaxadiol (PD) type saponin to protopanaxatriol (PT) type saponin in roots were lower in the front lines compared to the middle and rear lines and the ratio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parts of roots.

저자
  • 李翔国(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이상국
  • 남기열(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최재을(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