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재배지역이 기장(Panicum miliaceum L.)의 항산화성분 및 활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the Cultivated Areas on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2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재배지역에 따른 기장 품종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내륙평야지인 경남 밀양과 산간지인 강원 원주, 해안지인 전남 신안에서 5품종의 기장을 재배하여 수확된 시료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항산화성분 함량 분석 및 항산화활성을 검정하였다. 재배지역에 따른 기장 종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신안에서 재배한 붉은기장과 벼룩기장이 각각 2.54 및 2.65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원주에서 재배한 붉은기장과 벼룩기장이 각각 2.66 및 2.59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총 탄닌함량은 신안에서 재배한 벼룩기장과 노란찰기장이 각각 1.87및 1.42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재배환경에 따른 조의 조곡 메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신안에서 재배한 붉은기장과 벼룩기장이 각각 8.54 및 8.53 mg TE/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ABTS radical 소거활성 또한 신안에서 재배한 붉은기장과 벼룩기장이 각각 19.48 및 19.29 mg TE/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항산화성분의 함량과 항산화활성은 재배지역과 품종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so millet cultivated in different areas were determined. The cultivated areas were Milyang (plain area of interior), Wonju (mountainous territory) and Sinan (coastal area), and cultivated varieties were Hwanggeumgijang (HGG), Byeoruk-gijang (BRG), Norangchal-gijang (NRG), Bulgeun-gijang (BGG), Whin-gijang (WG).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methanolic extracts were 2.54 and 2.65 mg/g in BGG and BRG produced in Sinan, respectively. The highest total flavonoid content were 2.66 and 2.59 mg/g in BGG and BRG produced in Sinan, respectively. The highest total tannin contents were 1.87 and 1.42 mg/g in BRG and NRG produced in Sinan. The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value of BGG (8.54 mg TE/g) and BRG (8.53 mg TE/g) produced in Sinan. The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y was the highest value of BGG and BRG of 19.48 and 19.29 mg TE/g in the grains produced in Sinan, respectively. Generally, there was difference in antioxidant compound contents on the methanolic extracts of proso millet between the cultivated areas and varieties.

저자
  • 이재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송석보(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고지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강종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오병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서명철(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곽도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남민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우관식(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