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산 감자(Solanum tuberosum L.)의 품종별 품질특성 평가 및 용도구분 KCI 등재

Evalu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Definition of Utilization Category in Korean Potato (Solanum tuberosum 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426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본 실험에는 1기작 품종 15개 및 2기작 품종 5개 등 총 20개 품종을 실험재료로 이용하였다. 이들 품종을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센터 포장(강원 강릉)에 파종하였고, 관행적인 방법으로 100~120일간 재배한 후 수확하였다. 수확한 괴경 중 중간크기의 괴경만을 선별하여 주요 성분들을 분석하였다. 이와 동시에 관능검사를 통해 찐 감자의 분질도를 조사하였으며, 각 조사결과를 기준으로 한국산 감자의 용도를 구분하였다. 실험결과 건물율은 '하령', '자영' 및 '세풍' 등의 품종이 높았고, 전분입자는 '자영'과 '신남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mylose 함량은 '하령', '추동' 및 '고운'이 가장 높았다. 무기물 함량은 뚜렷한 경향 없이 성분별 품종별 차이를 보였다. 비타민 C 함량은 '자영'이 62.5 mg~cdot100g1 FW로 월등히 높았고, 단백질 함량은 '추강'이 가장 높았으나 품종간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당 함량은 1기작 품종에 비해 2기작 품종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1기작 품종 중에서는 '대서'와 '남서'의 함량이 낮았고, 2기작 품종 중에서는 '고운'의 함량이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기준으로 건물율이 높고 환원당 함량이 낮은 9개 품종('대서', '가황', '가원', '고운', '하령', '남작', '자심', '자영' 및 '세풍')이 가공용으로 적합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분질도가 높고 amylose 함량이 높은 7개 품종 ('추강', '가원', '고운', '하령', '남작', '자심', '서홍')은 찜용으로 적당하였으며, 분질도가 낮고 amylose 함량이 낮은 5개 품종('대서', '추동', '가황', '조풍', '조원')은 찌개용으로 적당하였다.

Total twenty cultivars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were grown at Gangneung where is located in low land of Korea. Their tubers were harvested from 100 to 120 days after planting, and over 150 g of tubers were selected for quality evaluation. Dry matter, starch, amylose in starch, ascorbic acid, protein, individual sugars and mineral were analyzed and mealiness of cooked potatoes were also evaluated by panel test. Dry mater content was the highest in 'Haryeong', 'Jayoung' and 'Shepody', and the biggest starch granules were observed in 'Jayoung' and 'Sinnamjak'. In addition, the content of amylose was highest in 'Haryeong', 'Chudong' and 'Goun'. Mineral content showed the slight difference between cultivars, but it's tendency was not clear. Vitamin C content was highest in 'Jayoung' as 62.5 mg~cdot100g-1 FW, and 'Chugang' exhibited the highest content of protein. Sugar content was lower in cultivars for single one than double cropping. The lowest sugar content was observed in 'Atlantic' and 'Namseo' among cultivars for single cropping, and in 'Goun' for double cropping. As a result of analysis for quality factors, we could select nine cultivars ('Atlantic', 'Gahwang', 'Gawon', 'Goun', 'Hareong', 'Irish Cobbler', 'Jasim', 'Jayoung' and 'Shepody') with high dry matter content and low reducing sugar as a cultivar group for processing. Additionally, seven cultivars ('Chugang', 'Gawon', 'Goun', 'Hareong', 'Irish Cobbler', 'Jasim' and 'Seohong') with high mealiness and amylose content and five cultivars ('Atlantic', 'Chudong', 'Gahwang', 'Jopung' and 'Jowon') with low mealiness and amylose content were classified as groups for boiled or steam cooking and for soup or pot dishes, respectively.

저자
  • 이예진(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정진철(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윤영호(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홍수영(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김수정(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진용익(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남정환(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권오근(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