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1

        1.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the NAC transcription factor ANAC032 in regulating abscisic acid (ABA)-dependent stress responses and its involvement in sugar signaling pathways. Arabidopsis seedlings with overexpressed or knock-out ANAC032 were examined for their sensitivity to ABA, glucose, and fluridone to elucidate the functional role of ANAC032 in ABA and high glucose-mediated growth retardation. Our results showed that ANAC032 negatively regulates ABA responses, as ANAC-overexpressing plants exhibited higher ABA sensitivity, while anac032 mutants were less sensitive. Under high glucose conditions, anac032 mutants demonstrated hyposensitivity, with germination rates higher than wild-type and ANAC032-overexpressing plants. Additionally, yeast two-hybrid screening identified three NAC proteins, ANAC020, ANAC064, and ANAC074, interact with ANAC032. These findings highlight ANAC032’s role in stress signaling pathways and its potential interactions with other NAC proteins, contributing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ranscriptional regulation in plant stress responses and possibly expanding to forage crop development.
        4,000원
        2.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phenylboric acid functionalized carbon dot (2-FPBA-CD) for rapid fluorescent sensing of glucose in blood was synthesized by simply mixing N, S-doped carbon dots (CDs) with phenylboric acid at room temperature. At pH 7.4, the response of 2-FPBA-CD to glucose could reach equilibrium in a very short time (10 min), with a wide responsive linear range of 19.70 μM to 2.54 mM, which can be applied to the detection of glucose in serum. The mechanism studies showed that the layered carbon film of 2-FPBA-CD aggregated after adding glucose, thereby leading to the fluorescence quenching of 2-FPBA-CD.
        4,300원
        3.
        202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유통 주류의 당류 함량 및 저칼로리 감미료 의 사용 실태를 조사하고자 탁주 10건, 약주 6건, 청주 5 건, 맥주 5건, 과실주 12건, 소주 5건, 일반증류주 5건, 리 큐르 9건, 기타주류 15건을 수거하여 총 72건을 검사하였 다. 당류와 알룰로스는 HPLC-RI로 분석하였고 감미료 5 종은 HPLC-UV와 LC-MSMS를 이용하였다. 전체 주류의 당류 평균함량은 4.13±5.16 g/100 g 이었으며, 유형별로는 발효주(탁주, 약주, 청주, 맥주, 과실주) 0.00-8.92 g/100 g, 증류주(소주, 일반증류주, 리큐르) 0.00-30.55 g/100 g, 기타 주류는 0.14-17.02 g/100 g의 분포를 보였다. 당류의 함량이 가장 높은 유형은 리큐르로 평균 검출 농도가 100 g 당 12.41±9.66 g였다. 저칼로리 감미료의 함량은 아세설팜칼륨 28.6-121.5 mg/kg, 사카린나트륨 42.3 mg/kg, 아스파탐 34.1- 141.5 mg/kg, 수크랄로스 23.3-88.1 mg/kg로 나타났으며 사이 클라메이트와 알룰로스는 모든 주류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72건의 주류 중 24건에서 감미료가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감미료 사용량은 모두 식품첨가물 기준 이내였다.
        4,000원
        4.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uzu (Citrus junos) undergoes traditional processing to create preserved yuzu with a sugar content of 50%. This study aimed to produce low-sugar yuzu syrup using artificial or natural sweeteners instead of sugar. Among artificial sweeteners, maltitol showed minimal browning and lack of deposition at high temperatures. The addition of xanthan gum (0.2%) and carboxymethyl cellulose (0.2%) resolved the issue of layer separation and viscosity decrease of yuzu syrup. Alternatively, grain syrup, a natural sweetener, improved viscosity and homogeneity without the additives. Yuzu syrups were developed using yuzu juice and preserved yuzu, with maltitol (20~40%) or grain syrup (50~70%) as the sweetener. Yuzu syrups containing 35% maltitol (M35) or 55% grain syrup (G55) had less than 5% and 10% free sugar, respectively. These syrups exhibited taste patterns similar to commercial yuzu syrup in analysis using an electronic tongue. Furthermore, M35 and G55 contained yuzu flavonoids at concentrations of 19.82 mg/g and 24.09 mg/g,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y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of M35 and G55 was equivalent to 10.55, 17.59 mg/100 g of Vitamin C and 97.39, 33.92 mg/100 g of Vitamin C, respectively. Consequently, M35 and G55 offer promising alternatives to preserved yuzu, providing low-sugar yuzu syrups enrich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4,500원
        6.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채소는 여러 건강상의 이점을 주는 식이섬유를 다량 함 유하고 있다. 채소는 국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섭취되고 있 으며, 특히 생으로 먹거나 나물의 형태로 가장 많이 섭취 되고 있다. 나물은 여러 조리 방법이 있는데, 가장 흔한 방법은 데치고 무치는 형식이다. 한국에서 나물로 흔히 섭 취되는 국내산 참나물, 깻잎, 곰취, 우엉, 마늘쫑을 데친 후, 데친 채소와 생 채소를 한국 식품공전에 따라서 식이 섬유와 유리당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참나물, 우엉뿌리 와 깻잎은 데친 후에 총 식이섬유가 감소하였으나, 곰취 와 마늘쫑은 각각 6.09±0.49에서 6.43±0.01 g/100 g 과 4.52±0.35 에서 5.09±0.04 g/100 g으로 증가하였다. 유리당 분석 결과, 깻잎을 제외한 채소들에서 sucrose, glucose와 fructose가 검출되었으며, 깻잎은 sucrose가 검출되지 않았 다. 분석한 채소들 중에서 sucrose 함량이 가장 높은 채소 는 우엉 뿌리 (1.71±0.07 g/100 g) 였으며, glucose와 fructose는 각각 1.65±0.02 와1.73±0.02 g/100 g로 마늘쫑 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채소를 데친 후, 곰취 (0.10±0.01 에서 0.14±0.01 g/100 g)와 마늘쫑 (0.76±0.00 에서0.83±0.01 g /100 g)에 함유된 sucrose를 제외한 다른 유리당 함량은 전 부 감소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채소를 데치면 채소에 함 유된 유리당과 식이섬유의 함량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영양 정보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어떠한 조리 상태의 채소를 섭취할지 선택할 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8.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ereal grains are the dietary staple in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Republic of Korea. These grains are usually consumed cooked. Korean grown raw and cooked brown non-glutinous rice (BNR), white non-glutinous rice (WNR), oats, and barley were analyzed to assess the effects of cooking on dietary fiber and free sugar content. The largest decrease in total dietary fiber (TDF) after cooking was observed in barley (11.62±1.26 to 2.96± 0.90 g/100 g), and the smallest decrease was observed in oats (8.1±0.34 to 8.1±0.32 g/100 g). Soluble dietary fiber decreased in oats (3.35±0.94 to 1.25±0.03 g/100 g) while insoluble dietary fiber increased (4.76±0.78 to 6.90±0.30 g/100 g) after cooking. TDF content was not changed. Of the six free sugars routinely assessed, only sucrose was detected in BNR and WNR. Sucrose decreased by about 0.6 g/100 g in BNR, and was not detected in WNR, after cooking. Fructose, sucrose, and raffinose were detected in oats (0.08, 0.83, and 0.19 g/100 g) and barley (0.09, 0.58, and 0.22 g/100 g) Maltose was also detected in barley (0.09 g/100 g). Total sugar content decreased in every cereal grain sample after cooking. This research reveals that dietary fiber and free sugar content can be reduced by cooking cereal grains.
        4,000원
        9.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발효노니 다당체 추출물(Vitalbos)을 건강기능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DAA, 총당 함량, 단당류 3종 (galacturonic acid, glucose 및 galactose)을 지표성분으로 설정하고, 지표성분에 대한 효과적인 분석법 설정 및 검 증을 위해 수행되었다. 기존에 보고된 분석법 검증 방법 을 수정하여 특이성,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 검출한계 (LOD) 및 정량한계(LOQ)를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와 페놀-황산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DAA 및 단 당류 3종의 표준용액과 Vitalbos의 머무름 시간이 일치하 였으며 스펙트럼 또한 동일하여 분석법의 특이성을 확인 하였다. 지표성분의 검량선 상관계수(R2)는 0.9995-0.9998 범위로 0.99 이상의 우수한 직선성을 나타냈다. Intra-day 및 inter-day 정밀도는 0.14-3.01%의 범위로 5% 미만의 우 수한 정밀도를 나타냈고 회수율은 95.13-105.59% 범위에 서 우수한 정확도를 보였다. DAA 분석의 LOD와 LOQ는 각각 0.39 μg/mL 및 1.18 μg/mL이었으며 총당 함량의 LOD 및 LOQ는 각각 0.84 μg/mL 및 2.55 μg/mL로 측정 되었다. 단당류 3종에 대한 LOD는 0.48-0.81 μg/mL의 범 위였으며, LOQ는 1.45-2.44 μg/mL 범위에서 정량분석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법 검증 결과, 특이성, 직선 성, 정밀성 및 정확성 모두 우수한 분석법임을 검증하였 으며, LOD와 LOQ 또한 Vitalbos 분석에 적합하였음을 확 인하였다. 검증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Vitalbos의 지표 성분 함량을 측정하였을 때, DAA, 총당 함량, galacturonic acid, glucose 및 galactose의 함량은 각각 2.31±0.06 mg/dry weight g, 475.92±5.95 mg/dry weight g, 72.83±1.05 mg/dry weight g, 71.63±2.44 mg/dry weight g 및 67.30±2.31 mg/dry weight g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분석법을 사용했을 때 Vitalbos의 지표성분 3종에 대하여 우수한 재현성으로 정 량분석이 가능하였으며,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의 품질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0.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confirm the preventive effect of xylitol on dental caries as a whole or partial alternative to dietary sugars. This study reviewed the oral health effects of xylitol on the prevention mechanism of dental caries,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the inhibition of mother-to-child transmission, and the oral health effects in the elderly based on existing studies on the oral health of xylitol. Carbohydrates and dietary sugars in food are fermented by acid-producing microorganisms in the mouth and produce dental plaque and acid, which cause dental caries. However, most dental decay-causing bacteria cannot produce acids by metabolizing xylitol. Xylitol, stored in cells as a non-metabolizable metabolite by Streptococcus mutans (S. mutans), affects bacterial glucose metabolism and inhibits bacterial growth. Xylitol consumption also reduces the amount of plaque and the population of S. mutans in both plaque and saliva. In addition, xylitol acts in the remineralization process. Xylitol has been confirmed to effectively prevent dental caries, inhibit mother-to-child transmission of MS, prevent dental caries, and increase salivary flow in the elderly. In conclusion, xylitol is an adequate sugar substitute for dental health, from infants to the elderly. For future studies, the researchers recommend reviewing the effects of xylitol on the oral and intestinal microbial environment and the side effects of excessive intake.
        4,000원
        1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Holstein 비육후기에 홍삼박, 광물질 및 설탕을 첨 가 급여하여 건물채식량, 일당증체량, 육질특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4처리로서 홍삼박, 광물질 및 흑설탕을 급여하지 않는 처리구를 대조구(C), 홍삼박 200g 첨가 급여 구는 T1, 홍삼박 100g과 광물질 50g 첨가 급여구는 T2 그리고 광물질 50g과 흑설탕 20g 첨가 급여한 구를 T3 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총 사료섭취량 및 1일 채식량은 T2 및 T3구가 C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채식량 이 많았던 T2 및 T3구에서 총 증체량 및 일당 증체량이 높게 나 타났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 요구율은 C구가 다른 구 (T1, T2, T3)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p<0.05), T1, T2 및 T3 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등지방두께, 등심단 면적 및 육량등급은 처리구 상호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근내 지방은 T3(4.5) > T1(4.0) > T2(2.7) > C(2.5)구순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육색, 지방색, 조직감 및 성숙도는 상호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질등급은 상호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T3 > T1 > T2 > C 순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경제적 조수익성은 T3 > T1 > T2 > C구순으로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배합사료와 조사료 만 급여하는 체계(C) 보다는 홍삼박, 광물질 및 흑설탕을 첨가 급여(T1,T2, T3)하는 체계가 도체등급 및 수익성 증대에 유리하며, 특히 증체량, 육질등급 및 경제성을 고려하였을 때 T3구가 가장 좋은 급여체계로 나타났다.
        4,000원
        12.
        202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take of processed foods containing high levels of sugar increases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including obesity,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Limiting sugar intake is important for a healthy life at all ag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food sources and sugar intake by the different age groups based on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e used 24-hour recall survey data to investigate the daily sugar intake and the major food groups and main dishes contributing to sugar intake. The mean sugar intake was 58.9-66.8 g/day. The three major food groups contributing to sugar intake were fruits (15.2-19.9 g/day), beverages (10.7-12.4 g/day), and milk and milk products (7.6-7.8 g/day). Teas and other non-alcoholic beverages (14.7-17.3 g/day), fruits (12.5-16.2 g/day), and dairy products (7.0-7.6 g/day) were the major food groups that contributed to the sugar intake. Carbonated drinks, apples, and milk were the top sources of sugar intake in each group. In conclusion, the sugar intake of Koreans is mainly from carbonated drinks, fruits, and milk. These results provided the basic data for nutrition education and nutrition progra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different age groups of the Korean population.
        4,000원
        13.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설탕 대체 비율에 따른 알룰로스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알룰로스의 설탕 대체비율을 0, 25, 50, 75, 100%로 설정한 후 수분함량, pH, Brix 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설탕 100%를 사용하였을 경우 0.11%로 가장 낮은 수분함량을 나타냈으며, 알룰로스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수분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H 는 설탕 100%와 알룰로스 100%를 제외하고 알룰로스 대체에 따른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brix는 알룰 로스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낮은 값을 보였다. 상대습도에 따른 흡습량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실험조건에서 알룰로스 함량이 높아질수록 흡습량이 높아졌으며,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흡습량의 증가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습도가 높고 알룰로스의 함량이 높을수록 흡습이 일어나 는 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알룰로스와 설탕의 혼합 비율에 따른 수분함량 및 흡습량의 자료는 앞으로 제빵 공정에 있어서 최종제품의 품질을 결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4.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gar-reduced green tea cookies were teste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nsity, spreadability, loss rate, and pH in all experimental groups (p<0.05). The sugar content of the sample with 100% sugar replaced was 0.96oBrix,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0.80 °Brix of the control (p<0.05). The sample with 75% sugar substituted was 0.76oBrix,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p>0.05). The calories per 100 g of cookies were reduced from 482 to 433 kcal in the sample groups, where the sugar content was reduced from 0 to 100%. Carbohydrates also decreased with decreasing sugar content. The protein was 5g in the sugar sample group reduced by 0- 25%, and 6 g in the sugar sample group reduced by more than 50%. Dietary fiber was three times higher in the sugar sample group reduced by 75% than the control, and four times higher in the sugar sample group reduced by 100% than the control.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weet sensory intensities were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75% reduced sugar sample group (p>0.05). The brightness, savory, sweet, and aftertastes were similar in all experimental groups (p>0.05). Overall, high value-added green tea cookies with a more than 75% reduction in sugar were successfully developed with added functions of immunity, anti-cancer, antioxidant functions, preventing constipation and obesity, without deteriorating the sensory and physicochemical qualities tested.
        4,000원
        15.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랭지 배추재배지에서 근래에 문제되고 있는 Heterodera속의 사탕무씨스트선충(H. schachtii)과 클로버씨스트선충 (H. trifolii)에 대한 살선충 물질(Burkholderia rinojensis, fluazaindolizine, fluopyram, fosthiazate, hydrogen peroxide, imicyafos)들의 알과 유충에 대한 약제 반응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 물질에 따른 부화율 비교 결과 부화율은 처리 약제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fluopyram, fosthiazate, imicyafos 처리에서는 두 선충 모두 99%의 매우 높은 부화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선충간 약효차이는 hydrogen peroxide를 제외하고는 없었다. 부화유충에 대한 처리별 살선충 활성은 부화 억제효과 실험에서 높은 부화억제 효과를 보였던 fluazaindolizine 처리에서만 두 선충 모두에 대하여 30%미만의 낮은 살선충 효과를 보였고, 나머지 처리에서는 90%이상의 치사율을 보였다. 처리 24시간 후와 48시간 후 모든 실험물질에 대한 2령충들의 약제반응은 종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내 실험에서 동일한 기주를 가해하는 두 씨스트선충들의 살선충제들에 대한 약제 반응이 동일하게 나타나 두 선충 혼생지에서 동시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6.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pressure plate treatment on chemical composition in Prunus mume sugar extracts (PSEs). Green Prunus mume fruit was mixed with an equal amount of commercial sugar and stored at 4 or 25oC for 9 mon with or without a pressure plate. The alcohol contents in PSEs stored at 4oC were lower than those stored at 25oC. The amygdalin contents in PSEs stored at 25oC with pressure plate were significantly low. The sucrose in PSEs was converted into glucose and fructose during storage. The glucose, fructose and total phenol contents in PSEs stored at 25oC were higher compared with those at 4oC. The total soluble solid and polyphenol contents in PSEs were increased at 25oC until 90 d and 4oC until 150 d and then the contents were constant. The total acidity in PSEs stored at 4oC were higher than those at 25o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orage tempera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the alcohol, amygdalin and sucrose contents in Prunus mume sugar extracts (PSEs).
        4,000원
        18.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수집한 영지 유전자원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균주별 생육특성을 분석하였고, 영지의 항산화 활성과 관련이 있는 생리활성 성분, 베타글루칸 함량, 필수 및 비필수 아미노산 성분, 단당류, 이당류 및 당알콜 등의 당 성분 함량을 분석하였다. 14종의 영지 중 갓의 크기, 수확량 등을 고려하여 생육특성이 우수한 균주는 KMCC02960 (G. meredithae), KMCC02932 (G. tropicum)이었다. 14종의 영지 70% 에탄올 추출물 1 mg/ ml 농도에서의 DPPH 라디컬 소거능은 53.1% ~ 79.4%를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 KMCC02932 (G. tropicum) 균주 가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영지1호인 KMCC02824 (G. lucidum)와 KMCC02852 (G. neo-japonicum)가 각각 69.5%와 63.2%로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영지1호인 KMCC02824 (G. lucidum)와 KMCC02852 (G. neojaponicum) 가 각각 38.0 mg GAE/g와 37.8 mg GAE/g로 다른 균주에 비하여 높은 함량치를 보였다. 14종의 영지 중에서 높은 베타글루칸 함유량을 보이는 균주는 32.95% 의 KMCC02852 (G. neo-japonicum)와, 33.43%의 KMCC03018 (G. lingzhi)이었다. 4종류의 단당류와 2종류의 이당류, 4종류의 당알콜류 분석결과, 모든 성분이 검출된 영지 균주는 KMCC02996 (G. weberianum)과 KMCC03018 (G. lingzhi)이었으며, 총 아미노산과 총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균주는 KMCC02932 (G. tropicum)로 티로신(Tyr), 페닐알라닌(Phe) 성분함량이 높게 검출되었으며, 균주별로 성분함량 차이가 있었으나 시스테인(Cys), 티로 신(Tyr), 페닐알라닌(Phe) 성분이 다른 성분에 비하여 높게 검출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우수 유전자원을 선발하는데 기초자료로서의 활용도가 높으리라 기대 되며, 추후 영지 고유의 유용성분인 가노데릭산(ganoderic acid) 등의 분석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려 한다.
        4,500원
        20.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reducing sodium and sugar intake in the Bulgogi bowl and yogurt, respectively, by utilizing food and non-food factors. Sodium and sugar replacers were the target food factors, and eating environment was the target non-food factor. The sodium content of Bulgogi bowls was reduced by 40%, and a flavor enhancer was applied to compensate for the reduced saltiness. Low calorie sweeteners, such as sucralose and stevia, were used to lower the sugar content of yogurt by 30%. Consumers were asked to evaluate the samples in one of the three eating environments: private booth evaluation, BOOTH; watching video clips during evaluation, VIDEO; conversation with friends during evaluation, FRIEND. The results showed that applying sodium or sugar replacers were effective in lowering sodium or sugar intake, respectively, without compromising the acceptance level of samples. Significant influences of the eating environment were observed on liking and perception of samples, but the influence patterns were not consistent between Bulgogi bowl and yogurt.
        4,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