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 중생 거대 배아미 발아현미용 신품종 ‘큰눈’ KCI 등재

A Medium-Maturing, Giant-embryo, and Germination Brown Rice Cultivar ‘Keunnu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13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지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큰눈’은 다양한 전분 신소재를 육성할 목적으로 1991년 하계에 양질다수성 품종인 ‘일품벼’에 돌연변이처리(MNU)하여 중만생이며 배가 일반벼보다 큰 거대배아미인 ‘Ilpum MNU)36-2-GH1-2-10-1-2-3-2-1’ 계통을 선발하여 ‘수원492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 실시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05년 12월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국가목록등재 품종으로 선정됨과 동시에 ‘큰눈’으로 명명하였다. ‘큰눈’의 중부평야지의 평균 출수기는 8월 17일로 ‘화성벼’보다 6일 느리고, 남부평야지 평균 출수기는 8월 15일로 ‘남평벼’보다 1일 빠른 중생종이다. ‘큰눈’의 간장은 86 cm이며, 이삭길이는 23 cm로 ‘화성벼’와 비슷하고, 포기당 이삭수는 ‘화성벼’보다 적으나, 수당립수는 많고, 등숙비율은 낮은 편이며, 현미 천립중은 가벼운 편이다. ‘큰눈’은 도열병 저항성은 약한 반응을 보였으며, 흰잎마름병 및 바이러스병과 벼멸구 및 애멸구 저항성은 없었다. ‘큰눈’은 내냉성검정에서 ‘화성벼’에 비해 출수지연일수가 다소 길고, 냉수구 임실율이 낮아서 내냉성은 약한 편이며, 도복특성검정에서 좌절중은 낮고, 도복지수는 높은 편이나 포장 도복은 강한 편이다. ‘큰눈’은 현미장폭비가 1.62인 중단원립이고, 투명도가 다소 불량하고 심복백이 많아 외관 품위가 떨어지고, 아밀로스와 단백질 함량은 각각 17.5, 5.9%로 ‘화성벼’보다 낮은 편이며, 단당류 및 올리고당 함량은 ‘화성벼’보다 1.4배, 발아현미의 GABA 함량은 발아 2일에서 ‘일품벼’보다 2.8배 많았다. ‘큰눈’의 쌀수량은 보통기재배에서 평균 쌀수량이 4.52 MT/ha로 ‘화성벼’ 대비 89% 수준이었다. ‘큰눈’의 재배적지는 중부평야 및 남부평야지이다.

A new Japonica variety, ‘Keunnun’ was induced from the mutants of N-methyl-N-nitrosourea (MNU) treatment on fertilized egg cell of Ilpumbyeo by a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DA, in 2005. This variety has about 136 days of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and a midium-maturty with heading date of August 17 in central plain area of Korea. It has resistance to lodging with strong culm and good semi-elect plant type. The number of panicles/hill of ‘Keunnun’ is more than that of Hwaseongbyeo. ‘Keunnun’ has a giant-embryo and richer GABA content than that of Ilpumbyeo after 2 days’ germination in sprouting brown rice. It is susceptible to leaf blast, bacterial blight, virus disease and insect pests. The yield performance of this variety is about 4.52 MT/ha in milled rice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from 2003 to 2005. ‘Keunnun’ is one of cultivars adaptable to central and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저자
  • 홍하철(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Ha-Cheol Hong Corresponding author
  • 김연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eon-Gyu Kim
  • 최용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ng-Hwan Choi
  • 양세준(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Sae-Jun Yang
  • 이규성(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Kyu-Seong Lee
  • 이점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eom-Ho Lee
  • 정오영(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O-Young Jung
  • 양창인(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Chang-In Yang
  • 조영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ung-Chan Cho
  • 최임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Im-Soo Choi
  • 백만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Man-Ki Baek
  • 김명기(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Myeong-Ki Kim
  • 예종두(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ong-Doo Yea
  • 황흥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Hung-Goo Hwang
  • 노재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Jae-Hwan Roh
  • 김선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Sun-Lim Kim
  • 최해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Hae-Chune Choi
  • 이영태(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Young-Tae Lee
  • 이성희(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Sung-Hee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