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터넷 규제와 서비스 플랫폼의 중립성 - 규제, 플랫폼 신뢰의 추락, 그리고 이용자 이탈의 딜레마

The Failure of Korea Internet Regulation Policy: Spoiling Service Platform Neutrality and User Escap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18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Center for Law & Technology)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인터넷 이용자에게 안전한 서비스 플랫폼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 만든 한국의 법과 제도가 오히려 이용자 이탈을 야기하는 딜레마를 보여주는데 있다. 딜레마가 발생하는 이유는 규제가 서비스 플랫폼의 중립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한국의 인터넷 정책은 이용자가 어떠한 행태를 보일 것인지에 대한 고민 없이 오로지 부작용 해소라는 일방적 가치만 달성하려 하고, 그 일방적 가치가 이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플랫폼의 신뢰성을 크게 떨어뜨리고 있는 것이다. 실례로 정부는 이용자가 작성한 게시물에 대해서는 보호보다 삭제에, 그리고 이용자의 통신자료에 대해서는 프라이버시보다 범죄예방 혹은 국가안보에 더 충실하도록 플랫폼 사업자에게 요구하고 있다. 그러한 정책의 결말은 명약관화하다. 인터넷은 국경이 없기 때문에 이용자는 더 편한 서비스를 찾아 해외로 떠나게 되고 사업자는 이용자가 없는 서비스를 더 이상 운영할 수 없게 된다. 다른 무엇보다 정책 당국으로서는 국내 이용자를 통제할 방법이 없게 된다. 모든 기술발전의 역사가 그러하듯 인터넷이라는 신기술도 역기능이 존재한다. 게시물 중에는 분명 욕설ㆍ비방ㆍ저작권 침해ㆍ개인정보 누출 우려가 있는 것들이 있으며, 국가안보에 위해를 가하거나 범죄를 계획하는 통신자료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마땅히 지워야 하고 미리 알아내 예방해야 한다. 누구든 그러하고 싶지 않겠는가? 특히나 사회 안전망 구축 등 공공의 이익을 우선시해야 하는 국가기관이라면 말이다. 그러나 기술을 바라보는 시각은 일방향일 수 없다. 칼이 흉기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해서 국가가 모두 수거해 폐기처분할 것인가? 칼 제조업자에게 위험하지 않도록 칼을 무디게 만들라고 지시할 것인가? 칼이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스스로 이해하고 또 이해시키는 것이 우선임에도 불구하고 칼이 위험하다는 경고만 해댈 것인가? 한마디로 한국적 인터넷 서비스 플랫폼은 마치 칼을 무디게 만들라는 것과 같은 규제의 딜레마에 직면해 있다. 문제는 (게시물과 통신자료 제출 사례를 통해 살펴보겠지만) 이러한 규제가 서비스 플랫폼의 신뢰와 중립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게 되며, 그 결과 사업자에게는 이용자 이탈, 정부에게는 규제 불능이라는 상황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show how Korean system and law, enacted to create saferenvironment for service platform for the benefit of the users, induce the users to part away fromdomestic internet service providers.The main reason for the parting away is because the government-imposed regulationssignificantly infringed upon the neutrality of the service platform. In other words, Koreangovernment’s regulation of internet tends to be unilaterally geared toward preventing adverse sideeffects of internet usage, without due consideration for the importance of allowing the serviceproviders to remain neutral. Such imbalance causes the users to question the integrity of theservice providers. For instance, the government puts its weight on taking out harmful postingswhile overlooking the need to protect them. Also, the government requires the service providers toconduct their businesses in a way to prioritizes protection of national security or crime preventionover protection of privacy. The adverse effect of such policy is clear. Because there is no national boundary in thecyberspace, the users simply part away with the domestic service providers and seek servicesfrom the service providers based abroad. As result, domestic service providers soon findthemselves unable to sustain their businesses. Above all, the government loses all means toregulate the domestic users.

목차
Ⅰ. 수평적 규제와 플랫폼 사업자의 지위
Ⅱ. 플랫폼 사업자에 대한 국내외 입법례
Ⅲ. 플랫폼 중립성의 위기
IV. 그리고 아무도 남지 않았다
저자
  • 김성곤(사)한국인터넷기업협회 정책실 실장) | Kim, Sung K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