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논에서 경작형태와 우분액비 시용이 사초생산성 및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Cropping System and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on Effect of Cropping System and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04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논에서 조사료 생산을 위한 총체벼와 총체 영양보리 이모작 그리고 수수 수단그라스 교잡종과 총체 영양보리 이모작 재배시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총체 벼, 총체 영양보리, 수수 수단그라스 교잡종의 생산성, 사료가치, 토양성분 및 용탈수중의 무기물 농도를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2006년 5월부터 2009년4월까지 3년 동안 전라북도 김제군 백산면 시험포장에서 완전임의배치 3반복으로 수행되었다. 총체 벼의 후작으로 재배된 총체 영양보리의 2년간 평균 수량은 7,515 kg/ha이며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의 후작으로 재배된 총체 영양보리의 2년간 평균 수량은 8,515 kg/ha으로총체 영양보리의 수량은 수수 수단그라스 교잡종 이모작으로 재배한 경우가 총체 벼 후작에 비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수수수단그라스 교잡종과 총체 영양보리 이모작에서 총체 영양보리의 조단백질함량, NDF,ADF 및 TDN 함량은 총체 벼 후작물로 재배된 총체 영양보리와 함량 차이가 나지 않았다.경작형태별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토양 내pH, 전질소, 유기물 함량은 시험 전에 비해 시험 종료 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그러나 인산함량은 시험전후에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경작형태별 우분액비시용에 따른 토양 내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및 칼리 농도는 시험 전에 비해 시험 종료 후에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경작형태별 우분액비 시용에 따른 용탈수 중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인산염인, 염소,칼슘, 칼리, 마그네슘, 나트륨의 농도는 경작형태에 따른 확실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rage cropping system and cattle slurry on productivity of whole crop rice, whole crop barley and Sorghum-Sudangrass hybrid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paddy land. Forage cropping system used in this study was consisted of double-cropping whole crop barley followed by whole crop rice applied with cattle slurry (DWBRC) and double-cropping whole crop barley followed by Sorghum-Sudangrass hybrid applied with cattle slurry (DSSBC). The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the clay loam at Backsanmyun, Kimje, Chunlabukdo province in Korea for three years (May 2006 to Apr. 2009). This study was arranged in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three replicates. The field had been sown with whole crop rice ‘Nampyung’, Sorghum-Sudangrass hybrid ‘Sordan79’ and whole crop barley ‘Younyang’. The yields of whole crop barley in DWBRC and DSSBC were 7,515 kg/ha and 8,515 kg/ha, respectively. The yields of whole crop barley in DSSBC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at of DWBRC (p<0.05).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of whole crop barley in DWBRC were not difference as compared with those of DSSBC. The pH, and contents of total nitrogen and organic matter in soil samples collect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p<0.05). However, The content of phosphate in DWBRC was no difference as compared with DSSBC. In addition, after the end of experiment, the concentrations of exchangeable cations (Ca, Na, Mg and K) in soil samples collect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ere remarkably higher than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p<0.05). The concentrations of NH4-N, NO3-N, PO4-P, Cl, Ca, K, Mg and Na in leaching water were hardly influenced by the cropping system and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저자
  • 최기춘(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Ki Choon Choi Corresponding author,This author equally contributed to this work
  • 나상필(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Sang Pil Na
  • 김원호(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Won Ho Kim
  • 최기준(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Gi Jun Choi
  • 임영철(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Young Chul Kim
  • 김명화(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Myeong Hwa Kim
  • 이상락(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Sang Lak Lee
  • 김다혜(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Da Hye Kim This author equally contributed to this work
  • 육완방(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Wan Bang Y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