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인식 차이에 대한 상호 지향성 모델 적용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KCI 등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a Co-orientation Model for Explaining the Cognitive Difference in Project Commun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607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3.20.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발주자와 수행자는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모든 단계에 걸쳐 면밀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인식 차이를 좁혀야 하는 관계에 있다. 이는 두 역할자 간에 프로젝트의 수행목표에서부터 세세한 업무 인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상에 대한 인식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성과는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는 자주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의 연구도 다수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결정짓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프로젝트 발주자와 수행자 간 인식 차이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분석 방법을 도입한 예는 아직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상호 지향성 모델(co-orientation model)은 많은 연구를 통해 두 집단 간의 상호 인식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즉, 상호 지향성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두 집단의 상호 이해와 커뮤니케이 션이 효과적으로 수행된다는 설명이다. 상호 지향성 모델에서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측정하기 위해 조직 구성원 개인의 인식, 상대방의 인식, 그리고 상대방에 대한 자신의 인식과 자신에 대한 상대방의 인식을 파악하여 이들 간의 일치도를 활용한다. 그러므로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적인 관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척도로 상호 지향성 모델의 활용을 검토해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방법론적 측면에서의 기술적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연구 경향 및 시사점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프로젝트 커뮤니케이션의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 프로젝트 발주자와 수행자의 인식 차이에서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 오류의 극복 수준 측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이에 대해 상호 지향성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국내에서 이루어진 상호 지향성 연구들의 분석 유형 및 인식 주체의 경향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발주자와 수행자라는 이원적 구성의 프로젝트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 문제에 대하여 인식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상호 지향성 모델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위한 연구 모델을 수립하였다.

In general, project owners and project implementers should be bridged together through close dialogues in all stages of project implementation process.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the various issues between the two groups playing different roles ranging from job details to project objectives.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on project communication, it is often reported that the project outcome is mainly determined by how effectively project communication is performed. For this reas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roject communication. However, no studies have adopted the analytical method of properly measuring the cognitive differences between project owners and project implementers. As a useful tool to understand mutual cognition between the two parties, the co-orientation model has been used in many studies. This model argues that the effectiveness of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increases as the level of co-orientation increases.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the model uses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by examining the level of cognition of an individual vs. the others and the others vs. the individual in an organization. Accordingly, it is worthwhile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co-orientation model as a standar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in the management of project communication. The authors examined previous studies on the project communic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In this review, they sought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and general trends in research through technical analyses on the concepts of project communication and the relevant methodologies. Also, they focused on measuring the level of overcoming communication errors resulting from the cognitive differences between the project owners and the project implementers in order to evaluate the level of achievement in project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y examined the type of analy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subjects of previous studies on co-orientation in Korea in order to measure the applicability of the co-orientation model. Following their study, the authors have established relevant study models based on their conclusion that it is appropriate to apply the co-orientation model in order to analyze the cognitive differences and to resolve communication problems occurring in project managements by two different project groups: the project owner group and the project implementer group.

저자
  • 김정수(서울과학종합대학원) | Kim, Jung Soo 제1저자
  • 이영면(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경영대학) | Lee, Young-My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