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라쉬분석을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검사 개발 KCI 등재

The Development of Swallowing Function Test of Stroke Victims Using a Rasch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29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검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 153명을 대상으로 5개 영역에 24개 항목으로 구성된 예비 연하기능 검사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대상자 및 항목의 적합도와 항목 난이도, 분리신뢰도, 평정척도 분석 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항목의 영역을 분류하였다. 결과 : 153명의 대상자 중 11명이 부적합한 대상자로 판정되었으며, 23개 항목 중 6개 항목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부 적합한 항목은 1)폐렴과거력, 2)구강감각, 3)구역반사, 4)비강/구강 역류, 5)삼킴지연, 6)삼킴 후 천명이었다. 항목의 난이도에서 가장 어려운 항목은‘후두거상’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쉬운 항목은‘각성도’로 분석되었다. 연하기능 검사 의 평정척도(0~4점)는 적합한 척도 범주로 분석되었으며, 항목에 대한 분리신뢰도는 .98, 대상자에 대한 분리신뢰도 는 .95로 분석되었다. 최종적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4개 영역에 17개 항목으로 구성된 연하기능 검사를 개발하였다. 결론 :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하기능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연하기능 검사 의 각 항목들은 임상적으로 환자의 기능과 회복 수준을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항목들의 난이도 수준을 고려하 여 중재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wallowing Function Test (SFT) for stroke patients by applying a Rasch analysis based on the item response theory. Methods : The subjects were 153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in 5 categories based on 23 items of a preliminary SFT.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a Rasch analys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ersons and items fit, the distribution of item difficulty, separation reliability,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rating scale. Finally, the items were categorized using a factor analysis. Results : Eleven out of 153 subjects were found to not fit. Six out of 23 items were also found to be misfit. The misfitted items included‘ history of pneumonia’,‘ oral sensation’,‘ gag reflex’,‘ nasal/oral regurgitation’, ‘swallowing delayed’and ‘stridor after swallowing’. Of the appropriate items, the most difficult was ‘laryngeal elevation’, and the easiest was‘ alertness’. The SFT rating scale was shown to be appropriate for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The item separation reliability was .95, and the person separation reliability was .98. Finally, four categories for 17 items were completed for the SFT through a factor analysis. Conclusion : The SFT for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was proven to be reliable and valid. It is expected that SFT may help identify th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and the recovery level may present intervention guidelines, considering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items.

저자
  • 홍덕기(원광대학교 전주한방병원 작업치료실) | Hong, Deok-Gi
  • 이재신(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Lee, Jae-Shin Corresponding author
  • 김수경(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Kim, Su-Kyoung
  • 전병진(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Jeon, Byoung-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