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잎 부위 및 삽목용토의 종류가 처녀치마의 엽삽 번식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Leaf Parts and Rooting Media on Propagation of Heloniopsis koreana by Leaf Cutt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6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3,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처녀치마는 백합과에 속하는 숙근성 다년초로서 4월부터 아름다운 적자색의 꽃이 피기 시작하고 개화기간이 길며, 잎이 상록성이기 때 문에 분화용, 정원용 및 조경용 식물로서 유망한 특산식물이다. 따 라서 자생 처녀치마의 엽삽번식을 위한 실용적인 자료를 얻고자 잎 부위, 삽목용토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잎을 상 • 하로 1/2 절단하여 윗부분(Upper half)과 아랫부분(Lower half)을 이용 하였고, 전체 잎을 이용한 처리구(Vertical), 잎을 세로방향으로 1/2 절단하여 이용한 처리구(Half horizontal), 그리고 자르지 않고 전체 잎을 그대로 옆으로 식재한 처리구(Horizontal)로 구분하였다. 삽목용토 실험을 위해 원예용상토(Horticultural Media), 마사토(Decomposed granite),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피트모스(Peatmoss) 및 펄 라이트(Perlite)를 단용 처리하여 실험하였다. 삽수조제 방법에 따른 잎 부위별 실험에서, 전체 잎을 기부만 절단하여 이용한 처리구 (Vertical)와 잎을 자르지 않고 그대로 옆으로 눕혀서 식재한 처리구 (Horizontal)에서 각각 69%, 66%의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이는 잎의 선단부위와 기부가 포함되었을 때 발근이 잘 된다는 것을 의 미한다. 삽목용토에 따른 발근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버미큘라이트, 마사토 단용 처리구에서 각각 94%, 87%의 높은 발근율 을 보였고 뿌리생육도 좋았다. 또한 발근이 잘 된 처리구는 잎의 기부에서 신초가 형성되었다.

Heloniopsis koreana Fuse, N. S. Lee & M. N. Tamura is native to Korea and has a great potential to become a new ornamental plant for decorative purposes in gardens, in pots and landscape due to attractive reddishpurple flowers and evergreen leaves. Therefore, we observed the effects of leaf parts and growing media on rooting and shooting of H. koreana for leaf cutting propagation. Leaves cut by five different ways (lower half, upper half, vertical, half horizontal, and horizontal) were examined for rooting and shooting. Leaves were cut in half horizontally to create a leaf part of lower half and upper half. Leaves were also cut in half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half horizontal. Whole leaf including the leaf tip and the basal part was used for vertical and horizontal. Five different rooting media (horticultural media, decomposed granite, vermiculite, peatmoss, and perlite were used for growing media experiment. In the experiment of effect of leaf parts, both rooting rate, and root growth were the best when whole leaf was used in either vertical direction or horizontal direction. The presence of the tip and the basal part of leaf enhanced rooting rate, and root growth. When vermiculite and decomposed granite were used for leaf cutting propagation, rooting rate, and root growt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eaves rooted, newly formed shoots were observed at the base of leaves.

저자
  • 이완희(한택식물원) | Wan Hee Lee Corresponding author
  • 이승연(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원예생명공학전공) | Seung Youn Lee
  • 강근령(한택식물원) | Geun Ryeong Kang
  • 강정화(한택식물원) | Jung Hwa Kang
  • 이택주(한택식물원) | Taek Joo Lee
  • 김기선(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원예생명공학전공) | Ki Sun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