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우리나라 화훼장식 교육프로그램 분석과 화훼장식가와 지망생 직업만족도 비교 KCI 등재

An Analysis of Korean Floral Design Education Program and the Job Satisfaction of Florist and Applicants Floris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7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화훼장식교육프로그램을 분석 하고 화훼장식가의 직업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현직 화훼장식사 60명과 지망생 60명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화훼장식가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대상자가 경험한 직종 등에 대한 만족도, 관련 교육에 대한 내용, 사회적 인식도, 사회적 대우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직업선택 시 고려하는 사항, 일에 대한 관련전공자와 비 관련전공자의 만족도, 현재 직업에 대한 만족도, 교육기간 에 대한 만족도, 화훼장식사 능력에 대한 중요도, 직업의 발전요건에 대한 중요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현직 화훼 장식가와 지망생이 직업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모두 원예적성 그리고 장래성으로 나타났고, 화훼장식사 들의 전공별에서는 화훼장식관련 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는 없었다. 지망생들의 전공별 분석결과에서도 현직 화훼장식가와 마찬가지고 만족도는 화훼장식관련 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현직 화훼장식가와 지망생의 경력과 교육기간에 따라 만족도에 차이를 보면 화훼장식 관련 교육 또는 수업경험과 강사의 교수법에 대한 만족도는 경력이 적을수록 더욱 낮은 만족도를 보였 으며, 화훼장식 지망생의 교육기간에 따른 결과를 보면 일에 대한 만족도는 교육기간과 관계없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 화훼장식가와 지망생의 전공에 따 라 능력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본 결과는 현직 화훼장식가의 전공별 분석결과는 화훼부문과 장식 품제작부분에서 관련전공자가 기타 전공자에 비해 더 중 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품질유지 부문, 화훼장식부문, 그리고 화훼유통 및 경영부분에서는 관련전공자와 기타 전공자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지망생들의 전공별 분석결과를 보면 화훼부문, 화훼장식부문, 장식품제작, 화훼유통 및 경 영에서 관련전공자가 기타전공자에 비해 전반적으로 중 요도를 높게 평가하였다. 품질유지에 대한 중요도는 전 체적으로 관련전공자가 기타전공자에 비해 중요하게 생 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화훼장식가로 활동을 하는 데 있 어서 화훼장식전공자가 비전공자들에 비해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교육내용 중에서 원예관련 교육이 가 장 중요하다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가적인 화훼장식가를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 적인 교육프로그램이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시대에 화훼장식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론과 실기가 통합된 체계적인 교육내용에 따른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To analyze our country’s education program for flower decoration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of florist, 60 present florists and 60 applicants were surveyed. To investigate satisfaction of florist, the questionnaire items consisted of satisfaction for occupation etc. experienced by attendants, contents of related education, recognition from society, social treatment. And this study analyzed followings : considerations to select occupation, satisfaction on job of person who majored in related subject and non- person without such an educational background, satisfaction on present occupation, satisfaction on education period, significance of florist ability, significance of requirements for occupational development. The points which present florists and applicants consider as important were aptitude for gardening and prospect. From the analysis by major of florists, majored persons had more satisfaction than non-majored person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From the analysis by applicant, as in present florists, majored persons had more satisfaction than non-majored persons. For the satisfaction by career and education period of present florists and applicants, the satisfaction on education related to flower decoration or learning experiences and lecturer’s teaching method showed that the lower the career is, the less the satisfaction is. Seeing the result by education period of applicants, the satisfaction on job was similar each other regardless of education period. For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ability by major of present florists and applicants, the result of analysis by major of present florists showed that majored persons considered the ability more important comparing to non-majored persons in the fields of gardening and making decorations. In the other hand, in the fields of quality maintenance, flower decoration, and fl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there was no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majored and non-majored persons about the recognition of ability. The result of analysis by major of applicants showed that majored persons considered the ability more important comparing to non-majored persons in the fields of gardening, flower decoration, making decorations, fl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For the significance of quality maintenance, majored persons wholly considered the significance more important comparing to non-majored person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working as a florist, persons who majored in flower decoration had more occupational satisfaction than non-majored persons. And among the contents of education, the education related to gardening was recognized as most important. But at present the systematic and special education programs to cultivate professional florists are defici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ourses based on systematic educational contents which integrate theory and practice are needed to solve education problem related to flower decoration in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저자
  • 문현선(고려대학교 대학원) | Hyun Sun Moon
  • 홍종원(고려대학교 대학원) | Jong Won Hong
  • 한고운(고려대학교 대학원) | Koh Woon Han
  • 장유진(고려대학교 대학원) | Eu Jean Jang
  • 박천호(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Chun Ho Pa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