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실외 화분용 자생식물 선발 KCI 등재

Selection of Korean Native Plants as Outdoor Pot Pla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37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국내에 아직 많이 이용되지 않는 식물 중 실외 정원의 화분에서 봄부터 가을까지 잘 견뎌낼 수 있는 자생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한국 30여 지역을 탐사하였다. 일반적인 화분(직경 27.5 cm ×높이 27.5 cm) 과 걸이용 화분(직경 27.5 cm ×높이 13 cm)에 식물을 채 취하여 심거나 파종하여 충남 성환(북위 36´´56´ 동경 127´´09´)의 정원에서 재배하여 생육이 좋은 것으로 파 악된 자생식물은 일반적인 화분용으로는 13과 29속 38종 (초본식물 37종류, 목본식물 1종류)이었으며, 걸이용 화 분용으로는 28과 43속 46종(초본식물 29종류, 목본식물 17종류)이었다. 이 중 이용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식물은, 일반적인 화분에는 박주가리과의 박 주가리, 도라지과의 염아자, 국화과의 인진쑥ㆍ사자발쑥ㆍ 물쑥, 사초과의 가는그늘사초, 화본과의 수크령ㆍ강아지풀, 꿀풀과의 배초향ㆍ긴병꽃풀ㆍ꽃향유ㆍ산박하ㆍ들깨풀, 콩 과의 털갈퀴나물, 후추과의 후추등, 장미과의 분홍찔레의 16종이었고, 걸이용 화분용으로는 박주가리과의 박주가 리, 국화과의 좀씀바귀, 메꽃과의 메꽃ㆍ둥근잎유홍초, 마과의 마, 꿀풀과의 긴병꽃풀ㆍ백리향, 콩과의 제주달구 지풀ㆍ털갈퀴나물, 방기과의 새모래덩굴, 후추과의 후추 등, 미나리아재비과의 긴잎으아리, 장미과의 분홍찔레, 양 지꽃, 꼭두서니과의 계요등, 꼭두서니, 포도과의 담쟁이 덩굴 18종이었다.

78 Korean native plants, which have not been used in general, were selected to be used as outdoor pot plants for three seasons, from spring to autumn. Plants, which were explored in about 30 places of Korea from 2007 to 2009, were transplanted to or sown in white plastic general pots (27.5 cm (Φ) × 27.5 cm (H)) and hanging pots(28 cm (Φ) × 13 cm (H)) and grown in the garden of 36´´56´ latitude(N) and 127´´09´ longitude( E). 38 species(13 families and 29 genus) were suitable for outdoor general pots, and 46 species(28 families and 43 genus) for outdoor hanging pots. Among 38 plants for outdoor general pots, the principal species, which were easy to grow and have not been used in general, were 16 species, Metaplexis japonica in Asclepiadaceae, Phyteuma japonicum in Campanulaceae,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princeps, and Artemisia selengensis in Compositae, Carex humilis in Cyperaceae, Pennisetum alopecuroides, and Setaria viridis in Gramineae, Agastache rugosa, Glechoma hederacea, Elsholtzia splendens, Isodon inflexus, and Mosla punctulata in Labiatae, Vicia villosa in Leguminosae, Piper kadzura in Piperaceae, and Rosa multiflora var. multiflora in Rosaceae. Among 46 plants for outdoor hanging pots, the principal species, which were easy to grow and have not been used in general, were 17 species, Metaplexis japonica in Asclepiadaceae, Ixeris stonlonifera in Compositae, Calystegia japonica and Quamoclit angulata in Convolvulaceae, Dioscorea batatas in Dioscoreaceae, Glechoma hederacea and Thymus quinquecostatus in Labiatae, Trifolium lupinaster for. alpinus and Vicia villosa in Leguminosae, Menispermum dauricum in Menispermaceae, Piper kadzura in Piperaceae, Clematis mandshurica for. lancifolia in Ranunculoideae, Rosa multiflora var. multiflora and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in Rosaceae, Paederia scandens and Rubia akane in Rubiaceae, and Parthenocissus tricuspidata in Vitaceae.

저자
  • 손관화(천안연암대학 화훼장식계열) | Kwanhwa Sohn Corresponding author
  • 김훈식(플라워 비즈니스 마케팅 연구소) | Hoon Sik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