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폴리에테르술폰 정밀여과막의 제조 및 특성 연구 KCI 등재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ethersulfone Microfiltration Membran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45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p-toluenesulfonic acid (TSA)와 polyvinylpyrrolidone (PVP)를 함유한 polyethersulfone (PES) 고분자 용액을 이용하여 PES 멤브레인 내에 최소 공경을 갖는 내부 분리층을 만드는 방법에 관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팽윤제로 사용된 PVP와 응고제로 사용된 TSA를 함유한 평막형 PES 멤브레인의 제조 및 구조적인 특성 조사가 수행되었으며, 상업용 막에 대등할 만한 투과 성능과 좁은 pore size distribution을 가지는 멤브레인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PVP의 첨가는 멤브레인의 단면구조와 투과 성능에, TSA는 투과 성능보다는 pore size distribution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FE-SEM 결과와 TSA를 첨가한 멤브레인의 단면 사진에서 내부 최소 기공층의 두께가 두꺼워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is the research about a new method to make the internal separation layer with smallest pore size in polyethersulfone (PES) membrane by adding p-toluenesulfonic acid (TSA) and polyvinylpyrolidone (PVP) to polymeric PES solution. The prepar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PES sheet membranes containing PVP as a hydrophilic swelling material and TSA as a demixing material were performed. As a result by microflow porometery, the PVP and TSA added PES membranes showed good permeabilities and narrow pore size distributions, comparable to those of the commercial membranes. The concentration of PVP affected the PES characteristics on air permeability and surface structure. The concentration of TSA influenced on pore size distribution but do not affect air permeability. The surface images of FE-SEM shows similar pore size when TSA added or not. However, the cross-section images of FE-SEM show that the TSA added PES membranes have a increase of internal layer thickness with smallest pore size.

저자
  • 김노원(동의대학교 환경공학과) | Kim No-Won 주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