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얼굴 표정의 제시 유형과 제시 영역에 따른 정서 인식 효과 KCI 등재

Effects of the facial expression presenting types and facial areas on the emotional recogn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4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자극과 정지 영상 자극을 사용하여 얼굴 표정의 영역(얼굴 전체/눈 영역/입 영역)에 따른 정서 상태 전달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동영상 자극은 7초 동안 제시되었으며, 실험 1에서는 12개의 기본 정서에 대한 얼굴 표정 제시 유형과 제시 영역에 따른 정서 인식 효과를, 실험 2에서는 12개의 복합 정서에 대한 얼굴 표정 제시 유형과 제시 영역에 따른 정서 인식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동영상 조건이 정지 영상 조건보다 더 높은 정서 인식 효과를 보였으며, 입 영역과 비교하였을 때 동영상에서의 눈 영역이 정지 영상 보다 더 큰 효과를 보여 눈의 움직임이 정서 인식에 중요할 것임을 시사하였다. 이는 기본 정서 뿐 아니라 복합 정서에서도 어느 정도 관찰될 수 있는 결과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서의 종류에 따라 동영상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개별 정서별 분석이 필요하며, 또한, 얼굴의 특정 영역에 따라서도 상대적으로 잘 나타나는 정서 특성이 다를 수 있음을 사사해 준다.

The aim of the experimental studies described in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ace/eye/mouth areas using dynamic facial expressions and static facial expressions on emotional recognition. Using seven-seconds-displays, experiment 1 for basic emotions and experiment 2 for complex emotions are executed. The results of two experiments supported that the effects of dynamic facial expressions are higher than static one on emotional recognition and indicated the higher emotional recognition effects of eye area on dynamic images than mouth ar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dynamic properties should be considered in emotional study with facial expressions for not only basic emotions but also complex emotions. However, we should consider the properties of emotion because each emotion did not show the effects of dynamic image equally. Furthermore, this study let us know which facial area shows emotional states more correctly is according to the feature emotion.

저자
  • 이정헌 | Lee, Jung-Hun
  • 박수진 | Park, Soo-Jin
  • 한광희 | Han, Kwang-Hee
  • 김혜리 | Ghim, Hei-Rhee
  • 조경자 | Cho, Kyung-J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