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제품의 심미성이 제품의 사용시간, 몰입도, 정보 기억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Influence of an Aesthetically Appealing Product on the Using Time, Flow, and Recall Memo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5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3개의 실험연구를 통하여 사용자들이 동일 조건의 제품(미디어플레이어)의 경우사용하기 편한 제품보다 심미적인 제품에 대하여 더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고, 정보를 기억하며, 집중을 한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실험1(N=18)에서는, 세 가지의 제품을 자유롭게 사용해본 뒤, 각 제품의 심미성과 사용성을 측정하기 위해, 각각 8개와 6개의 요인적 재량이 높은 감성어휘를 선택하여 주관적 평가스케일을 작성하였다. 실험 2(N=18)에서는, 심미성에 차이가 나는 동일조건의 제품에 대해 각 제품을 사용한 시간을 측정하였고, 정보의 기억도 측정을 위해 기억한 메뉴를 묻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제품에 얼마나 몰입하였는가를 보기 위하여 사용자가 추정하는 제품 사용시간을 물어보고 실제 사용시간과의 격차를 산출하였다. 또한 실험 3(N=18)에서는, 각각 심미성요인과 사용성요인의 값이 높은 두 개의 상반된 제품을 선별하여 제품 사용시간과 정보의 기억도, 몰입도의 차이를 상호 비교하였다. 사용성이 동일한 조건에서 심미적인 제품은, 실험에 적용된 3가지 요인 (사용시간, 몰입도, 정보의 기억도) 중 몰입도와 정보의 기억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반된 두 개의 제품비교의 경우, 심미적인 제품의 경우 몰입도, 정보의 기억도 요인에서 사용성이 좋은 제품보다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도출되었다.

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users have longer using time, better recall of product information, and flow in an aesthetically appealing product (media player) in products offering good usability. For the experiment, fourteen emotional words were employed which were made up of 8 aesthetic and 6 usability words. In a preliminary experiment, the subjects freely used three media players and selected emotional words by a 7-point likert scale to distinguish a group of similar usability value and another group contrary to the other in aesthetic and usability value. (N=18) In the main experiment, it was hypothesized that users use more and have more flow and recalled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aesthetically appealing product. Therefore, in the main experiment, we measured how much time subjects spent using the product and asked them to make an assumption regarding the time spent by the group that has the same usability value. We then examined the time they spent and the gap between the actual and estimated time. We also calculated the amount of menu information recalled via a questionnaire. In the last experiment, we selected the group of products contrary to each other in aesthetic and usability value and assessed the differences in using time, recall of product information, and flow. (N=18) The empirical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aesthetically appealing products are associated with greater flow and recall of product information than other products, thus supporting the hypothesi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esthetically appealing product and flow index as well as with recalled information.

저자
  • 이재화 | Lee, Jae-Hwa
  • 석현정 | Suk, Hyeon-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