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FeS2의 압축성 연구 KCI 등재

Compressibility of FeS2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770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황철석에 대한 압축성 연구를 다이아몬드 앤빌 기기 및 방사광을 이용하고 에너지분산 X-선회절법을 적용하여 상온에서 시행하였다. 황철석의 체적탄성률은 실험조건과 실험기기에 따라 매우 큰 변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압력전달매체의 특성에 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FeS2#1(황철석+NaCl)과 FeS2#2(황철석+MgO)에 대해 압력전달 매체로 각각 NaCl과 유체를 이용하여 체적탄성률 138.9 GPa와 198.2 GPa를 각각 얻었다. 이러한 값은 시료방의 압력상태에 따른 예측 결과치에 대치되는 것으로 그 원인은 압력전달액체의 상변이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며 이외에 고상검출기의 차이, E*d값의 차이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모든 실험은 포항가속기연구소 1B2 빔라인에서 시행되었다.

Compression work on a pyrite powder has been carried out using energy dispersive X-ray diffraction (EDXRD) with Mao-Bell type diamond anvil cell (DAC) and synchrotron radiation(SR) at room temperature. It has been reported the bulk moduli of pyrite show the large variations depending o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s well as the apparatus used. Thus, two kinds of sample in different pressure transmitting media of both NaCl and MgO powder emerged in alcoholic fluids were subjected to measure their compressibilities. Bulk moduli thus obtained are 138.9 GPa and 198.2 GPa, respectively, and this result contradicts to the anticipated values according to the hydrostaticity conditions of the sample chamber. This might be due to the alcoholic fluids phase transition mainly with the side effects from the difference of both solid state detector (SSD) used and E*d value applied.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at the Beam Line 1B2 of Pohang Light Source (PLS).

저자
  • 조현구 | Cho, Hyen-Goo
  • 황길찬 | Hwang, Gil-Chan
  • 김영호 | Kim, Young-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