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큰느타리버섯 재배사의 실태분석 - 서부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nalysis of Actual State of Facilities for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 Based on Western Gyeongnam Area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2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조사는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새송이버섯 재배농가의 안정적 영농을 위해 재배사 설계, 시공 및 환경조절과 관련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서부 경남지역을 대상으로 새송이버섯 재배사의 재배사 규모, 환경조절시스템 등의 실태조사 및 검토를 하였다. 재배사의 형태는 반영구재배사와 영구재배사로 대별 할수 있었고, 반영구재배사는 대부분 단동이었고, 영구재배사의 경우는 단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동이 많았다. 그리고 재배사의 규모는 형태에 관계없이 다양하였지만, 길이, 폭 및 동고는 각각 20m, 6.6~7.0m 및 4.6~5.0m정도의 농가가 가장 많았으며, 동당 바닥면적은 132~140m2(40-42평)정도의 범위로서 대부분 콘크리트로 처리하여 각종 균에 의한 버섯의 오염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반영구 및 영구재배사의 지붕경사각은 각각 41.5˚ 및 18.6~28.6˚로 나타나 반영구재배사의 지붕경사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재배상의 폭 및 단수는 재배사의 형태에 관계없이 각각 1.2~1.6m정도와 4단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버섯을 연중재배 하는 재배사에는 모두 냉·난방시설, 가습장치 및 환기팬이 설치되어 있었다. 난방방식의 경우, 온수보일러, 전기히터, 증기보일러 순으로 나타났다. 냉방장치의 경우는 모두 산업용 에어컨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가습은 초음파가습기와 원심분리가습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보조 장치로 분무노즐을 사용하는 농가도 일부 있었다. 또한 온·습도 조절 및 탄산가스 조절을 위한 장치의 제어는 동별 제어시스템을 많이 채택하고 있었다. 그리고 온도센서 이외는 모두 타이머를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배지병의 크기는 850 cc 및 1,100 cc를 사용하는 농가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고, 이 밖에도 800cc와 950 cc, 1,200 cc병을 사용하는 농가도 있었다. 출하형태는 대부분 유통회사와 공판장을 동시에 이용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the basic knowledge about the mushroom cultivation facilities. Classified current status of cultivation facilities in Gyeongnam province was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The structure of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facilities can be classified into the simple and permanent frame type. The simple frame structures were mostly single-span type, on the other hand, the permanent frame structures were more multi-span than simple structures. And the scale of cultivation facilities was very different regardless of structural type. But as a whole, the length, width and ridge height were prevailing approximately 20.0 m, 6.6~7.0m and 4.6~5.0m range, respectively. The floor area was about 132~160 m2, and floor was built with concrete to protect mushrooms from various harmful infection. The roof slope of the simple and permanent type showed about 41.5˚ and 18.6~28.6˚, respectively. The width and layer number of growing bed for mushroom cultivation were around 1.2~1.6m, 4 layers in common, respectively. Most of year round cultivation facilities were equipped with cooler, heater, humidifier, and ventilating fan. Hot water boiler was the most commonly used heating system, the next was electric heater and then steam boiler. The industrial air conditioner has been widely used for cooling. And humidity was controlled mostly by ultra-wave or centrifuging humidifier. But some farmers has been using nozzle system for auxiliary purpose. More then 90% of the mushroom house had the independent environment control system. The inside temperature was usually controlled by sensor, but humidity and CO2 concentration was controlled by timer for each growing stage. The capacity of medium bottle was generally 850 cc and 1100cc, some farms used 800 cc, 950 co and 1,250 cc. Most of mushroom producted has been usually shipped to both circulating company and joint market.

저자
  • 윤용철 | Yoon, Yong Cheol
  • 서원명 | Suh, Won Myung
  • 유찬 | Yu, C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