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시험은 주요 왜성대목인 M.26 과 M.9, 발근력이 낮은 O.3, 발근력이 높은 Mo.84 등 4 종류의 사과 대목 품종을 재료로 휘묻이 번식시 황화처리에 따른 발근 부위의 생리적 변화를 시기별로 각각 비교, 분석하여 부정근 발생에 관여하는 요인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휘묻이 번식시 대목별 발근율은 Mo.84가 가장 높았고, O.3가 가장 낮았다. 대목 별 휘묻이 전 후의 IAA함량은 황화 처리 전 발근력이 높은 Mo.84에서 가장 높았으나 휘묻이 일수가 경과할 수록 IAA 힘량 변화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반면 발근력이 기장 좋은 Mo.84의 ABA 함량은 휘묻이 처리 전 후 모두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휘묻이 처리전에 비하여 처리후에서 ABA 함량은 모든 대목 품종에서 감소하였다. Boron의 함량은 발근율이 낮은 O.3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C/N율은 모든 대목들에서 발근율이 높은 Mo.84 대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목의 휘묻이 처리에 따른 IAA 함량은 대목의 발근율에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지만 ABA 함량과 boron의 수준은 사과왜성대 목들의 발근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추정된다.
This work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t rooting factor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a physiological differentiation after layering treatment using four apple rootstocks of different rooting abilities; M.26, M.9, O.3, and Mo.84. Mo.84 showed the highest rooting rate in from rootstocks, while O.3 was the lowest. Mo.84 also found to have the highest indole-3-acetic acid (IAA) content, although the fluctuation of IAA contents was not consistent with layering treatment. In contrast, abscisic acid (ABA) content of Mo.84 which showed highest rooting was lowest among rootstocks regardless of layering treatment. And ABA contents of all rootstocks were decreased after layering treatment than before layering treatment. O.3 which showed poor rooting rate revealed lowest in boron content. Carbohydrate/nitrogen (C/N) ratio of Mo.84 was the highest in all rootstocks. Therefor, we assumed that he IAA contents in layering treated rootstocks were not seemed to be a major rooting factor, but the changes in ABA contents and boron levels limit rooting in dwarf apple rootsto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