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육밀도가 쪽동백나무 유묘의 물질생산량과 생장특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Seedlings Density in Nursery on Biomass Produc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 of Styrax obassia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3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다양한 활엽수 자원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쪽동백나무 유묘의 생육밀도에 따른 물질생산량과 생장특성 등 최적의 생장조건을 조사하였다. 묘목의 생육밀도는 수고생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본 실험 결과 쪽동백나무의 1m2당 생육 밀도에 따른 묘목의 생장은 49본구에서 간장과 근원직경이 우수한 생장량을 보인반면 생육밀도가 낮은 처리구는 근원직경 생장이 증가하면서 간장생장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물질생산량 또한 생장 특성과 마찬가지로 1m2당 49본구 처리구에서 전체 물질생산량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3.12±0.80g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물질생산량을 보였고, T/R율에서도 1.59로 나타났다. 생리적 특성으로 광합성률 또한 쪽동백나무의 경우 1m2당 49/m2 본구와 64/m2 본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광합성률을 보였고 밀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 효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생육 환경조건에서 적절한 공간 확보가 궁극적으로 최종 물질대사 작용인 광합성률 변화에서 최적의 상태를 보이면서 생리적으로 안정된 생장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며, 적정 공간의 장애가 실질적인 생장저하를 발생시키고, 궁극적으로 물질대사의 최고 단계인 광합성효율 또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To provide the basic data essential for developing varieties of broad-leaved tree, the study investigated the utmost growth requirement for the growth characteristic and biomass production in accordance with planting density of Styrax obassia. The planting density of seedling can be a significant factor in contributing growth of seedling for tree growing in general. While growth of tree according to 1m2 planting density of Styrax obassia showed an excellent growth in tree height and the root collar diameter from 49no./m2, those low planting density showed decreased tendency with tree height growth while increasing the root collar diameter growth. As similar to the growth characteristic, the biomass production showed significant and statistic difference in 49no./m2, showing high volume of biomass production which is 3.12±0.80g compare to other processing section and high figure with T/R ratio which is 1.59. The special trait of photosynthetic also showed relatively high photosynthetic rate in 49no./m2 and 64no./m2 of Styrax obassia and as the density increase, photosynthetic efficiency decreased. The plant showed stable and physiological planting pattern, displaying the best photosynthetic rate, which was the final metabolism through reserving proper space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environment condition. This obstacle of required space essential for growth substantially deteriorated planting and ultimately, it demonstrated lower tendency of photosynthetic rate,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metabolism.

저자
  • 최정호 | Choi, Jeong-Ho
  • 유세걸 | Yoo, Se-Kuel
  • 이수원 | Lee, Soo-Won
  • 오석귀 | Oh, Seok-G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