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컨테이너 재배용 중간목의 노지 생산기술 개발을 위하여 왕벚나무 3년생을 대상으로 전정, 시비종류·시비량 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노지에 정식 후 전정 유무(1.8m 이하 전정(P) 및 무전정(N.P))와 시비종류 및 시비량(유박비료 21.7, 43.3g/㎡/yr, 퇴비 1.0, 2.0 ㎏/tree/yr, 고형비료 40.5, 81.0g/㎡/yr)을 대조구를 포함하여 처리하였다. 묘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정식 2년 후 생장 및 상대생장량, 건물생산량, 품질지수 및 양분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묘고 및 근원경 상대생장량은 무전정 처리보다 전정처리에서 유의적(p≤0.000)으로 높았으며, 전정을 실시한 고형비료 81.0g/㎡/yr 처리에서 가장 높은 생장량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왕벚나무 접목 3년생을 노지에 정식한 후, 1.8m 이하 전정을 실시하고 고형비료 81.0g/㎡/yr을 처리하여 2년 재배 시, 고품질의 컨테이너 재배용 왕벚나무 중간목이 생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4,300원
        2.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활엽수 자원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쪽동백나무 유묘의 생육밀도에 따른 물질생산량과 생장특성 등 최적의 생장조건을 조사하였다. 묘목의 생육밀도는 수고생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본 실험 결과 쪽동백나무의 1m2당 생육 밀도에 따른 묘목의 생장은 49본구에서 간장과 근원직경이 우수한 생장량을 보인반면 생육밀도가 낮은 처리구는 근원직경 생장이 증가하면서 간장생장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물질생산량 또한 생장 특성과 마찬가지로 1m2당 49본구 처리구에서 전체 물질생산량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면서 3.12±0.80g로 다른 처리구보다 높은 물질생산량을 보였고, T/R율에서도 1.59로 나타났다. 생리적 특성으로 광합성률 또한 쪽동백나무의 경우 1m2당 49/m2 본구와 64/m2 본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광합성률을 보였고 밀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 효율이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생육 환경조건에서 적절한 공간 확보가 궁극적으로 최종 물질대사 작용인 광합성률 변화에서 최적의 상태를 보이면서 생리적으로 안정된 생장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며, 적정 공간의 장애가 실질적인 생장저하를 발생시키고, 궁극적으로 물질대사의 최고 단계인 광합성효율 또한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4,000원
        3.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the estimation of actual recyclable amounts and the evaluation of waste oil recycling processes atrecycling facilities using material flow analysis (MFA). The estimation of actual recycling rates through the processes ofwaste lubricating oils is a very important subject not only in the point of view oil recycling efficiency by energy conversionprocesses but also in the perspective of the recycling technology level. In this study, the recycling processes and recyclingrates of waste lubricating oil recycling facilities were evaluated by using a MFA approach, a total of 10 site visits anda total of 30 site questionnaires in Korea. The MFA methodology based on mass balance approach applied to identifythe inputs and outputs of waste oils during the recycling processes at waste oil recycling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determine the composition and flows of the input materials to be recycled and foreign substances in a waste recyclingfacility.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waste flows in the processes along with the site visit and data surveys for therecycling facilities was required to develop a material flow for the processes and determine the process yield by differenttreatment methods (chemical distillation, vacuum distillation and high temperature pyrolysis). The results show that onaverage the process yields for chemical distillation, vacuum distillation, and high temperature pyrolysis were 89.9±7.7%,77.9±16.1%, and 57.9±9.3%, respectively. During the chemical distillation method, water in waste oils was a majorfraction (>50%), while the vacuum distillation method resulted oil large amounts of oil sludge produced during therecycling process. The process yields for different treatment methods depended upon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qualityof incoming waste oils, the type and operating conditions of recycling processes that are applied to. Based on the materialflow analysis in this study, the actual recycled amount of waste oil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260,809 ton in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