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전통음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I. 전통음료의 종류와 제조방법- KCI 등재

Literature Review on the Korean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s -I. Types and Processing Metho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9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한국식생활문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초록

우리나라 전통 음청류에 관한 역사적 배경을 고찰하고 8세기부터 1940년대까지의 기록으로부터 주류를 제외한 전통음료의 종류와 제조방법을 조사하였다. 옛 문헌에 기술된 음청류는 모두 70여가지로 집계되었으며 이들을 제조방법과 품질특성에 따라 순다류, 유사다류, 탕류, 장류, 숙수류, 미음류, 미식류, 식혜류, 수정과류, 화채류의 10가지로 분류하였다. 옛 문헌에서는 장(漿), 탕(湯), 청(淸), 다(茶)사이에 명확한 구분을 하고 있지 않았다. 밥을 유산균 발효시켜 물로 회석하여 만든 음료인 장(漿)은 신라, 고려시대에는 보편화된 음료로 보이나 오늘날에는 완전히 잊혀진 것으로 판단된다. 그 외의 음료는 18세기에 기술된 제조방법과 오늘의 제조방법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The types and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 and their historical backgrounds were surveyed through the old literatures published from the 8th century to 1940. A total of over 70 different names of beverages were found in the literature. They were classified into 10 groups according to their processing metho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Sunda (green tea), Yusada (tea analog with/without green tea), Tang (boiled herb extract), Jang (lactic acid fermented rice beverage), Suksu (rice tea), Mium (cereal gruel), Misik (roasted cereal powder), Sikhe (sweet rice beverage saccharified with malt), Sujonggwa (ginger-fruit drink) and Hwachai (fruits drink). In the old literatures, there was non exist clear distinction between Jang, Tang, Chong and Tea. Lactic acid fermented rice beverage seemed to be a common drink in Silla and Koryo periods (AD. 600-1400), but disappeared afterwards and completely forgotten today. Other beverages are maintained until today with almost identical methods of preparation as described in the literatures written in the 18th century.

저자
  • 이철호 | Lee, Cherl-Ho
  • 김선영 | Kim, Sun-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