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나물의 품질은 세근형성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면서도 세근형성 억제용 BA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고자 풍산나물콩, 소원콩, 준저리 종자를 이용하여 녹차와 두충 잎, 옥수수 종자 추출물과 현재 콩나물 생산에 이용되고 있는 황토와 키토산이 콩나물의 세근형성, 생장 및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품성이 높은 하배축 길이가 7 cm 이상의 비율은 풍산나물콩과 소원콩보다 준저리에서 현저히 낮았던 반면, 상품으로 출하가 불가능한 하배축 길이가 4 cm 이하의 비율은 이와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여타 처리보다는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가장 현저하였다. 2. 두충잎 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소원콩에서는 세근이 대부분 형성되나, 풍산나물콩, 준저리 순으로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여타 처리에서는 품종간 차이가 없었다. 세근형성 개체의 세근수는 두충잎 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가장 적었으며, 키토산 처리를 제외한 여타 처리에서는 소원콩에서 가장 많았던 반면, 준저리에서 가장 적은 경향을 보였다. 3. 준저리에서 가장 짧았던 콩나물 길이는 녹차잎 추출물 처리에서 가장 길었던 반면,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가장 짧았다. 이러한 길이의 차이는 하배축과 뿌리 모두의 차이에 기인되었다. 4. 준저리에서 가장 적었던 개체당 전체생체중도 콩나물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보였다.
Lateral roots of soybean sprouts should deeply affect their quality and marketability. The study was done to compare the effects of ocher, chitosan, corn kennel, tea (Thea sinensis L.) and hard rubber tree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extracts on lateral root formation,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sprouts. Seeds of three cultivars, Pungsannamulkong, Sowonkong and Junjery, were imbibed for 5 hours into their 10% solutions and cultured for 6 days. The cultured sprouts we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to calculate their composition rates on the base of hypocotyl lengths;>7 cm (A), 4 to 7 cm (B), < 4 cm (C) and not germinated (D),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s, fresh and dry weights were measured. Composition rate of A was the lowest in Junjery of the three cultivars, while that of C showed reverse result compared to A. This results was the most distinct in hard rubber tree leaf extracts (HRTLE) of the five treatments. In HRTLE treatment, lateral root formation rate were formed in almost of Sowonkong although reduced in order of Pungsannamulkong and Junjer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ther treatments. Lateral roots per sprout were the lowest in HRTLE treatment of the 5 treatments. In all treatments except the chitosan treatment, the roots were most formed in Sowonkong but least in Junjery. Sprout length adding hypocotyl and root was the shortest in Junjery compared to the other two cultivars. and was the longest in tea leaf extract treatment but the shortest in HRTLE treatment. The result in total fresh weight of sprouts was similar to that of the sprout leng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