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원도에서 수집된 왕머루의 생장과 과실특성 KCI 등재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Vitis amurensis Rupr. Collected in Gangwondo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06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강원도에서 수집되어진 왕머루를 관능평가와 기능성물질 분석을 통해 우량한 개체를 선발하였고, 선발되어진 왕머루를 통해서 생육과 과실특성을 검정하였다. 왕머루의 생육특성을 검정하기 위한 실험은 재배품종인 ‘캠벨얼리’와 ‘거봉’과 비교를 통해 이루어졌다. 왕머루의 만개기와 착색기는 실험에 이용되어진 재배품종들에 비해서 빨랐으나 수확기에 있어서는 늦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재배적 특성에 있어서 재배품종과 야생머루의 차이가 큰 것으로 판단되지는 않았다. 신초생장 양상을 통하여 평가되어진 생장곡선은 재배품종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머루의 과실 비대는 착과이후 3~4일 경에 급속도로 신장하다가, 신초가 생장하는 시기에 신장이 느려졌으며, 두 번째 생육이 시작되는 시기부터 재배기까지 과실의 크기에 있어 대략 2배가량 신장하여 왕머루의 과실 발달은 두 번의 정지기를 가지는 이중생육곡선으로 구분되었다. 왕머루의 과실의 크기와 가용성당 함량은 수령에 따라 증가한 반면, 산도와 총 당함량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수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육이 안정화되고 계통의 특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능성 물질의 검정에서 야생머루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16.6에서 50.2mg/100g로,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0.143에서 0.236μg/100 g으로 재배품종들에 비해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집되어진 왕머루의 과실과 생육특성을 검정한 결과에서 야생머루는 일반재배품종들보다 유용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왕머루의 다른 식품학적인 요소들은 포도속 식물의 육종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fruit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electing Vitis amurensis through functional materi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in V. amurensis collected in Gangwondo. For evaluation of growth characteristics in V. amurensi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compared with the two grape cultivars 'Campbell Early' and 'Kyoho'. The full bloom and verasion time in V. amurensis was investigated faster than those of examined cultivar grapes, while harvest time was investigated latter than those of examined cultivar grapes, but agronomic characteristics was not though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cultivar grapes and V. amurensis. For evaluation of shoot growth phase, the growth curve was very similar to cultivar grapes. The berry size in V. amurensis showed that increases rapidly between 3 and 4 days after full bloom time, and approximately doubles between the second growth period and harvest time, and the berry development phase investigated that consist of two sigmoid growth periods separated by a lag phase. The berry weight and soluble solids in V. amurensis increased with the tree age, but acidity and total sugar contents decreased, and showed a special quality and stable growth according to vine age. To investig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the anthocyanin content in V. amurensis ranged from 16.6 to 50.2 mg/100 g, and the resveratrol content ranged from 0.143 to 0.236μg/100 g which was higher than those of cultivar grapes. These result indicated that V. amurensis tended to have the useful material larger than cultivar grapes. Therefore, other edibility factors of V. amurensis collected in Gangwondo may contribute to breeding studies in Vitis. spp.

저자
  • 박영식 | Park, Young-Sik
  • 허재윤 | Heo, Jae-Yun
  • 김인종 | Kim, In-Jong
  • 허수정 | Heo, Su-Jeong
  • 김경희 | Kim, Kyung-Hee
  • 정병찬 | Jeong, Byung-Chan
  • 박성민 | Park, Sung-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