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가림 방향이 인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Furrow Directions on Growth and Yield in Panax ginseng C.A. Mey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512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약용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Medical Crop Science)
한국약용작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초록

해가림의 이랑방향이 인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방위각 90˚와 270˚ (이랑방향 90˚), 120˚와 300˚ (이랑방향 120˚), 0˚와 180˚ (이랑방향 180˚)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랑을 만들고 2, 3년생 인삼의 생육특성 및 수량성을 표준재배법의 이랑방향 120˚와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랑방향 90˚는 대조구인 120˚에 비해 오전에 투광량의 감소로 해가림 내 기온은 약간 낮았으나 15시 이후에는 투광량의 증가로 대조구보다 높은 기온을 보였다. 2. 이랑방향 180˚는 대조구인 120˚에 비해 9:00~11:00 사이에 투광량의 현저한 증가로 해가림 내 기온이 매우 높았으나 13시 이후에는 대조구와 투광량이 비슷하여 기온도 큰 차이가 없었다. 3. 이랑방향 90˚와 180˚에서 경장, 엽장 및 엽폭은 대조구인 120˚보다 모두 감소되었는데, 90˚보다 180˚에서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4. 엽소율(葉燒率)은 이랑방향 90˚에서 가장 작고 직사광선의 유입이 많았던 180˚에서 가장 컸으며 해에 따라 엽소율(葉燒率)은 큰 변이를 보였다. 5. 2004년과 같이 한발이 심한 해에는 이랑방향 180˚의 수량성이 대조구인 120˚보다 낮았으나 상대적으로 한발이 적은 2005년도에는 180˚가 대조구보다 높은 수량을 보였다.

To analyze how the furrow directions made by the azimuth of 90˚-270˚(N 90˚), 120˚-300˚(N 120˚) and 0˚-180˚(N 180˚) effect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2 and 3-year-old ginseng, both of N 90˚ and N 180˚ compared withN 120˚ recommended as the standard practices for ginseng cultivation. N 90˚ showed lower quantum and air temperature during forenoon, while it showed higher quantum and air temperature from 15:00 to 19:00 than that of N 120˚. N 180˚ showed high quantum and air temperature due to the distinct increase of sunlight penetrated from 9:00 to 11:00, and which were similar to that ofN 120˚ during afternoon. Stem length and leaf area in N 90˚ and N 180˚, respectively, were decreased more than that ofN 120˚, and those in N 180˚ were decreased more distinctly than N 90˚. Heat injury rate was decreased in N 90˚, while it was increased distinctly in N 180˚ that showed high quantum and air temperature, and which showed great variation according to the year. Yield of N 180˚ was decreased more than that ofN 120˚ in 2004, the year when it was a relatively high air temperature during summer season, but which was increased more than that ofN 120˚ in 2005 showing a rotatively low air temperature.

저자
  • 이성우 | Lee, Sung-Woo
  • 차선우 | Cha, Seon-Woo
  • 현동윤 | Hyun, Dong-Yun
  • 김영창 | Kim, Young-Chang
  • 강승원 | Kang, Seung-Won
  • 성낙술 | Seong, Nak-S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