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주요 오이품종들의 억제작형 양액재배 수량성 비교 KCI 등재

Productivity of Major Varieties of Cucumber in Retarding Culture under Hydroponic Condi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865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자원식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한국자원식물학회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초록

본 연구는 여러 오이 품종들의 억제작형에서의 생장과 수량을 조사하여 이 작형에서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엽수에 있어서 청장계 오이가 가장 많았고 흑진주계 오이에서 가장 적어 영양생장으로는 청장계 오이가 가장 좋았다. 암꽃수에 있어서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많았고 청장계 오이가 가장 적었다. 암꽃비율에서도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높았으며 청장계 오이가 가장 낮았다. 퇴화 암꽃비율에서는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높았으며 청장계 오이는 0%로 거의 퇴화를 보이지 않았다. 측지제거처리와 측지무제거 처리간 수량은 유이한 차이가 없었다. 수량에 있어서 흑진주계 오이가 가장 높았고 청장계 오이가 가장 낮아 억제작형재배에서 가장 적합한 품종은 흑진주계 오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proper varieties of cucumber by comparing growth and yield in retarding cultivation under hydroponic culture. Number of leaves appeared to be the highest Chungjangoi and the lowest in Heukjinjuoi. Heukjinjuoi showed higher vegetative growth rate. Heukjinjuoi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female flowers while Chungjangoi the lowest. The ratio of female flower was the highest in Heukjinjuoi and the lowest in Chungjangoi. Abortion of female flower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Heukjinjuoi and the lowest with 0% in Chungjango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yield between treatments of removal and not-removal of lateral buds.

저자
  • 임정묵 | Lim, Jung-Mook
  • 권병선 | Kwon, Byung-Sun
  • 신동영 | Shin, Dong-Young
  • 현규환 | Hyun, Kyu-Hwan
  • 김학진 | Kim, Hak-Jin
  • 정순주 | Chung, Soon-Ju
  • 이범선 | Lee, Beom-Seon
  • 임준택 | Lim, June-Tae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