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hibitory Effect of Muscat Bailey A Seed Extract on Melanin Production in α-Melanin Stimulating Hormone-stimulated B16 Cell
한국에서 주요하게 재배되는 세 개의 품종(켐벨, 청포도, 머루포도)을 대상으로 껍질과 씨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검색하였다. Mouse melanoma인 B16세포에 α-MSH와 샘플을 처리하여 melanin 생성을 측정하였다. 세 품종의 껍질은 효과가 없었으며 켐벨과 청포도의 씨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매우 강하였다. 머루포도 씨 추출물은 50μg/ml에서 대조구에 비해 melanin 생성은 51.6±20.5% 이었으며 세포 생존율은 90.4±11.3% 이어서 약간의 세포 독성에도 불구 melanin 생성 억제 효과가 뚜렷하였다. 머루포도 씨 추출물은 B16세포에서 α-MSH에 의한 tyrosinase 발현량 증가를 억제하였다. 이후 연구는 1) 머루포도 씨의 생리활성 단일물질 검색과 2) α-MSH의 신호전달 과정에 추출물 및 생리활성 단일물질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하는 점이고 현재 실험에 진행 중에 있다.
Inhibitory effect of skin and seed of three species grape cultivated in Korea on melanogenesis was investigated. Melanin generation was examined in α-Melanin Stimulating Hormone-stimulated B16 cell, mouse melanoma, in the presence of samples. All skin sample did not show the inhibitory effect. Seed extract of Campbell early and Neo Muscat had negative effect on cell viability. When 50μg/ml seed extract of Muscat Bailey A was treated, amount of generated melanin and cell viability were 51.6±20.5% and 90.4±11.3% compared to control, respectively. Seed extract of Muscat Bailey A reduced the tyrosinase protein induced by α-Melanin Stimulating Hormone, which suggests that inhibitory effect of seed extract of Muscat Bailey A on melanin is partly due to suppression of tyrosinase that is responsible for melanin p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