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국적 적용을 위한 비오톱유형분류 제안 KCI 등재

The Suggestion for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for Nationwide Appl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54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최근 한국에서는 각종 개발계획에서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구체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실천방안으로서 비오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 지자체마다 비오톱지도 작성에 대한 요구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통일된 비오톱 유형 및 분류체계, 분류기준에 대한 표준안이 없으며, 지자체마다 서로 다른 방법론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우선 지금까지 선행된 국내 외사례의 비오톱 유형 및 분류체계, 분류기준 등을 비교 검토하여, 비오톱 유형분류 및 분류체계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또한, 선정된 대표지역의 현장조사와 자문회의 등의 계속적인 피드백 과정을 통하여 한국에 적합한 비오톱 유형 및 분류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조사결과 국내사례의 비오톱 유형분류체계는 2단계나 3단계 분류체계가 혼합되어 있으며, 주로 대분류, 소분류의 2단구조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비오톱 유형분류기준으로는 토지이용, 토양피복율, 녹피율, 식생 등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오톱 유형분류를 위해 대분류(biotope class), 중분류(biotore group), 소분류(biotope type), 세분류(sub-biotope type)의 4단계 분류체계를 제시하였으며, 대분류 13개 유형, 중분류 45개 유형, 소분류 127개 유형으로 비오톱유형을 분류하였다. 하지만, 비오톱 유형분류는 지역의 특성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소분류 및 세분류 단계에서 새로운 유형들이 계속적으로 추가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e needs for drawing up of biotope map is rapidly spreaded over each local government recently in Korea, according as enhancing of interest about biotope, which is recognized to practical instrument for concretely being able to considering natural environment and ecosystem on all sorts of development plan. However, there are not yet the standard suggestion on biotope types and classification systems and biotope classification criteria. Therefore, each other methodologies are applied to each of local autonomies. First, under such critical mind the biotope types and classification systems were drafted by a review on biotope types,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s, and biotop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preceded case studies until now a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nd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biotope types and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s applicable to the whole Korean region through continual feed back such as field surveys in selected representative areas and consultation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ase examples, first, the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s were mixed two steps system with three steps system and those were composed mostly of the structure of two steps: large and small. Second, land-use, soil pavement ratio, green cover ratio, and vegetation usually were applied to the biotope classification criteri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iotope classification system is consisted of four steps system: large(biotope class), medium(biotope group), small(biotope type) and detail(sub-biotope type), and the biotope types are classified into 13 types of large step, 45 types of medium step and 127 types of small step.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ew biotope types on small step or detail step should be continually supplemented with the foundation of classification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because the biotope type classification should consider regional characteristics.

저자
  • 최일기 | Choi, Il-Ki
  • 오충현 | Oh, Choong-Hyeon
  • 이은희 | Lee, Eun-He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