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식생형을 고려한 소나무 임분의 조림적 고찰 KCI 등재

Consideration of Silvicultural Practice by Taking Community Type of Pinus densiflora Stan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55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한국에서 소나무는 문화적, 역사적, 정서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목재자원 생산이 가능한 수종이다. 소나무의 점유면적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참나무류를 비롯한 활엽수림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소나무림 유지를 위한 갱신과 시업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부지역을 대상으로 소나무에 대한 임분유형 및 구조분석을 통하여 생육환경과 천이과정을 파악함으로서,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경영림으로서의 발달과 천연갱신 유도에 그 목적이 있다. 중부지역 소나무림은 당단풍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비목군락, 전형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유형별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상층에는 소나무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중층에서는 참나무류 등 활엽 교목성 수종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하층에서 소나무 출현은 빈약하였다. 따라서 상관적으로 소나무가 생태적 영향력이 높은 것처럼 나타나고 있지만, 차후 자연 상태에서 교목층의 소나무가 고사하면 아교목층 이하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우점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소나무림의 형질과 생장패턴은 임분유형에 따라 지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어 소나무림에 대한 시업도 차별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In Korea, Red pine(Pinus densiflora) stands at a very important place, historically, culturally, and emotionally and it is one of the tree species that can produce domestic timber as forest resources economically. The growing space for Red pine forest in Korea is gradually reducing while the space for deciduous tree forests including oak series is gradually increasing. Thus, it is required that the research work should be done on renewal for pine forest retention and its related forest management practices. This research aims at developing stable, sustainable management forests and inducing nature renewal by grasping growth environment and succession process through the pattern of stand and structure analysis of the red pine(Pinus densiflora) for central region. The pine forests in central reg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communities, such as Acer pseudo-sibolianum, Quercus acutissima, Lindera erythrocarpa, and Pinus densiflora and they are show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pattern according to their growing district. There appeared a lot of red pines in the upper layer, but there existed high weight of broad-leaved forest tree species, such as oak series in the middle layer and the appearance of the red pine was meager in the lower layer. Therefore, it appears that the red pine has a high influential ecological strength in terms of correlativity; however, if the red pine in tree layer is dead by aging in nature state with the lapse of time, it is considered that oak species, such as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serrata will be dominant below sub-tree layer. In addition, there appear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and growth pattern of the red pine forest depending on stand pattern, so it is considered that a differential application method should be employed in the pine forest management.

저자
  • 이광수 | Lee, Kwang-Soo
  • 이중효 | Lee, Jung-Hyo
  • 김석권 | Kim, Suk-Kwon
  • 배상원 | Bae, Sang-Won
  • 정문호 | Jung, Mun-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