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나무림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경영림으 로 발달시키기 위해 우리나라 강원북부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유형과 임분구조를 분석하였 다. 소나무림의 군락유형은 3개군락 5개군 2개소군으로 총 7개 식생단위로 구분되었다. 상재도가 61%이상인 종 으로는 소나무, 신갈나무, 생강나무, 큰기름새, 삽주, 진 달래, 가는잎그늘사초로 나타났다. 중요치를 분석한 결 과, 상층에는 소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나 아교 목층 이하에서는 신갈나무를 비롯한 참나무류의 중요치 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하층에서 소나무의 치수가 거 의 발견되지 않고 교목성 활엽수와 관목성 수종들의 중 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경생장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에 비해 참나무류의 생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 나, 강원북부지역에서 지속적인 소나무림 유지를 위해서 는 각 임분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하층에서 소나무와 경 쟁관계에 있는 활엽수들을 제거하는 등 적절한 시업법 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4,200원
        2.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서 소나무는 문화적, 역사적, 정서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목재자원 생산이 가능한 수종이다. 소나무의 점유면적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참나무류를 비롯한 활엽수림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소나무림 유지를 위한 갱신과 시업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부지역을 대상으로 소나무에 대한 임분유형 및 구조분석을 통하여 생육환경과 천이과정을 파악함으로서,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경영림으로서의 발달과 천연갱신 유도에 그 목적이 있다. 중부지역 소나무림은 당단풍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비목군락, 전형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유형별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상층에는 소나무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중층에서는 참나무류 등 활엽 교목성 수종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하층에서 소나무 출현은 빈약하였다. 따라서 상관적으로 소나무가 생태적 영향력이 높은 것처럼 나타나고 있지만, 차후 자연 상태에서 교목층의 소나무가 고사하면 아교목층 이하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우점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소나무림의 형질과 생장패턴은 임분유형에 따라 지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어 소나무림에 대한 시업도 차별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4.
        199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보리차 및 결명자차의 추출 공정중 추출량에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는 입자크기, 추출온도, 추출시간, 및 초기시료의 농도 등이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상기 추출조건의 변화에 따른 추출량을 측정하여 얻어진 경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추출량 및 추출속도 예측 모델식은 가장 오차가 적은 범위에서 각각의 독립변수에 대한 예측 모델식을 세운후 각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종합하여 최종추출량 예측 모델식을 세웠다. 2. 입자의 크기가 총괄 물질전달계수에 미치는 영향은 입자가 작을수록 총괄물질 전달계수가 증가하였다. 3. 추출량은 입자크기가 작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시간이 길수록, 초기시료량이 클수록 증가하였다.
        4,300원
        5.
        202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anagement strategy for the recovery of carbon storage capacity of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rea. For the purpose, the biomass and stand carbon storage over time after the forest rehabilitation by tree type for Betula platyphylla, Pinus densiflora, and Alnus hirsuta trees which are major tree species widely planted for the forest rehabilitation in the abandoned coal mine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them with general forest. The carbon storage in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reas was lower than that in general forests, and based on tree species, Pinus densiflora stored 48.9%, Alnus hirsuta 41.1%, and Betula platyphylla 27.0%. This low carbon storage is thought to be caused by poor growth because soil chemical properties, such as low TOC and total nitrogen content, in the soil of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reas, were adverse to vegetation growth compared to those in general forests. DBH, stand biomass, and stand carbon storage tended to increase after forest rehabilitation over time, whereas stand density decreased. Stand' biomass and carbon storage increased as DBH and stand density increased, bu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and density and DBH. Therefore, after forest rehabilitation, growth status should be monitored, an appropriate growth space for trees should be maintained by thinning and pruning, and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such as fertilization must be managed. It is expected that the carbon storage capacity the forest rehabilitation area could be restored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general forests.
        6.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변구역에 분포하는 식물상 및 수생태계의 군집구조 규명과 하천유역의 생태계 변화 예측을 통한 수생식물군락 보전대책 수립을 위해 거창군 위천강 유역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조사구간을 통틀어 분포하고 있는 관속식물은 총 67과 161속 162종 27변종 3품종 총 192종류로 목본류 보다 초본류의 출현종 수가 높게 나타났다. 정수식물과 부엽식물대는 조성되지 않았으며, 습생식물로는 고마리, 여뀌, 닭의장풀, 산둑사초, 갯버들, 키버들, 달뿌리풀, 미나리 등이 확인되었다. 식물군락으로는 대표적인 우점군락은 달뿌리풀 군락이었고 다음으로 갯버들 군락이 형성되어 있었다. 5개의 조사지점을 분석한 결과, 달뿌리풀, 수크령, 산둑사초 등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종다양성지수는 0.890~1.337, 군집유사도는 0.33~0.60을 보였다. 조사대상지는 농경지, 답압, 가축방목, 돌망태, 콘크리트 옹벽 등의 호한공사 등에 의한 다양한 교란요인에 노출되어 있었으며, 강우에 의해 유실되는 토양이 하상 내 광폭부를 중심으로 일시적인 퇴적지를 형성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퇴적토사를 제거하고, 미나리, 갈대, 부들 등 수질정화수종 조성 및 수변구역 식생안정화 유도 및 수질을 정화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