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원북부지역 소나무림의 식생유형과 임분구조 KCI 등재

Vegetation Type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angwon Northern Region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29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소나무림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경영림으 로 발달시키기 위해 우리나라 강원북부지역에 분포하는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유형과 임분구조를 분석하였 다. 소나무림의 군락유형은 3개군락 5개군 2개소군으로 총 7개 식생단위로 구분되었다. 상재도가 61%이상인 종 으로는 소나무, 신갈나무, 생강나무, 큰기름새, 삽주, 진 달래, 가는잎그늘사초로 나타났다. 중요치를 분석한 결 과, 상층에는 소나무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나 아교 목층 이하에서는 신갈나무를 비롯한 참나무류의 중요치 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하층에서 소나무의 치수가 거 의 발견되지 않고 교목성 활엽수와 관목성 수종들의 중 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경생장을 분석한 결과, 소나무에 비해 참나무류의 생장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 나, 강원북부지역에서 지속적인 소나무림 유지를 위해서 는 각 임분의 특성을 고려하여 중․하층에서 소나무와 경 쟁관계에 있는 활엽수들을 제거하는 등 적절한 시업법 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vegetation type and stand structure of the red pine (Pinus densiflora) in Kangwon northern region for stable and sustainable management forests. The pine forests in study sites were classified into 3 communities, 5 groups, and 2 subgroups, total 7 vegetation units. Species with constance degree of more than 61% were P.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Lindera obtusiloba, Spodiopogon sibiricus, Atractylodes japonica, Rhododendron mucronulatum, and Carex humilis. They were show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by pattern according to their growing district. In the importance value (I.V.) analysis of each layer, P. densiflora showed highly in tree layer while in other layers Quercus spp. was high. Especially, young P. densiflora tree hardly appeared in the herb layer, but broad-leaved trees and shrub species showed high I.V.. Furthermore, the annual ring growth of P. densiflora was reduced while that of Q. spp. increased. According to analysis of stand structures and annual ring growths, it is considered that appropriate silvicultual practice methods should be employed to remove rival broad-leaved species for maintenance of sustainable red pine fores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nd.

목차
초 록
 ABSTRACT
 I. 서 언
 Ⅱ.재료 및 방법
  2.1 조사지 개황
  2.2 조사 및 분석방법
 Ⅲ. 결과 및 고찰
  3.1 소나무림의 식생유형
  3.2 상재도급 분포율
  3.3 식생단위별 중요치
  3.4 식생단위별 임분구조 및 생장
 Ⅳ. 결론
 Literature cited
저자
  • 이광수(국립산림과학원) | Kwang-Soo Le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김석권(국립산림과학원) | Suk-Kwon Kim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배상원(국립산림과학원) | Sang-Won Ba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이중효(국립환경과학원) | Jung-Hyo Le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신현철(국립산림과학원) | Hyun-Cheol Shin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정문호(한국광해관리공단 광해기술연구소) | Mun-Ho Jung (Institute of Mine Reclamation Technology)
  • 문현식(경상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농업생명과학연구원)) | Hyun-Shik Moon (Dept. of Environ. For. Sci., Gyeongsang National Univ.,(Insti. of Agric. and Life Sci.)) 교신저자
  • 배은지(국립산림과학원) | Eun-Gi Ba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