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백성시(白城市) 일대의 염성(鹽性), 알칼리성 건조지(乾操地) 식생(植生)에 관한 연구 KCI 등재

Vegetation on Basic, Alkaloid, Arid Land of the Whole Area of Baicheng City, Jilin Province, Chin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25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한국은 매년 봄철 중국의 서부지역 및 몽골로부터 불어오는 황사 피해를 받고 있다. 황사발생은 현재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멀리 아메리카 대륙에 이르기까지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중국의 서부지역은 장기간의 기후변화와 인간의 훼손행위로 인해 사막화가 급격히 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중국을 비롯한 각국은 식물식재를 통한 사막의 생태적인 복원을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막의 생태적인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중국 서북부의 대표적인 건조지인 빠이청(白城)지역의 식생을 조사하였다. 건조지에 1차적으로 침입한 강아지풀은 건조에 따른 토양의 염분농도 상승과 알칼리화와 더불어 Artemisia mongolica-강아지풀군락을 비롯하여 강아지풀-Cannabis sativa var. fruderalis 군락으로 천이하였다. 환경조건의 지속적인 악화와 더불어 강한 바람에 의한 증발량 상승으로 건조가 극심한 평지에서는 최종적으로 Artemisia mongolica 군락이 일부 잔존하였다. 시간변화에 따라 간헐적인 그늘이 생길 수 있는 구릉지는 상대적으로 공중습도가 확보될 수 있어 다른 유형의 식생이 나타났다. 조사대상지의 전 지역에 흔히 분포하는 남가새군락은 토양환경 악화와 더불어 남가새-Cleisrogenes squarrosa 군락으로 천이하였고 낮은 구릉지 지형조건에서 환경악화와 더불어 건조와 토양염분 및 강알칼 토양에 강한 Cleisrogenes squarrosa 군락이 최종적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본 조사지 일대에서 건조에 강한 27과 49속 58종 4변종의 총 62분류군의 고등식물이 나타났다. 이 가운데 환경내성이 뛰어난 국화과식물이 27.4%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Every spring, Korea is always plagued by sandy dust from the western region of China and Mongolia. Yellow sand is causing an environmental problem to Japan and far into the American continent, let alone Korea. At present, the western region of China is going under desertification at a great speed due to climatic change and humans' damaging activities. To cope with this, each country including China is considering ecological restoration of deserts through planting. Accordingly, this research conducted a vegetation survey on Baicheng district which is a representative dry land of western China to obtain a basic data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a desert. The survey revealed that Setaria viridis which invaded an arid land made a succession into Setaria viridis-Cannabis sativa var. fruderalis community together with Artemisia mongolica-Setaria viridis community due to the increase in salt concentration and alkalization subsequent to dryness.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re finally formed Artemisia mongolica community on a flat intense in harsh wind and dryness with the continuous worsening of environmental conditions. There appeared a different type of vegetation on hilly districts where sporadic shade could come into being because the air humidity could be available relatively there. Frequently, typically appearing at the whole survey area, the Tributlus terrestris community was found to make succession into Tribulus terrestris-Cleisrogenes squarrosa community due to the aggravation of soil environment. In addition, with the worsening of the environment at hilly districts, there formed Clesirogenes squarrosa community resistant to dryness, salinity in soil and strong alkalinity. Further, there appeared higher plant life totalling to 62 taxa comprising 58 species and 4 varieties with 27 families and 49 genuses at the whole survey area. Among these, Compositae plants excellent in resistance to environment was surveyed the most, accounting for 27%.

저자
  • 안영희 | Ahn, Young-Hee
  • 왕백성 | Wang, Bai-Cheng
  • 김영화 | Jin, Ying-Hua
  • 최창용 | Choe, Chang-Young
  • 현영남 | Xuan, Yong-Nan
  • 송동옥 | Song, Dong-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