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관악산 산림의 식물군집동태를 22년간(1972~1993년) 모니터링 한 연구의 연속된 연구이다. 이에 도시환경변화에 따른 관악산 산림의 식생구조 변화실태를 분석하여 향후 도시림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지난 39년간(1972~2010년) 평균기온은 약 1.1~1.7℃ 이상 상승하였고, 토양 산성화(pH 5.40→4.50)와 K+(0.67→0.25), Ca++(3.20→0.87) 함량의 감소경향이 뚜렷하였다. DCA에 의하여 분류된 군집유형의 상대우점치와 흉고직경급별 분석결과 추정되는 천이경향은 39년간 신갈나무에서 멈춰 있었고, 향후 천이계열은 신갈나무에서 유지되거나 소나무→신갈나무, 상수리나무→졸참나무로 예측되었다. 관악산 산림에 생육하는 수목의 규격은 증가하였지만 종수 및 개체수는 39년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도시환경 변화 지표종인 때죽나무와 팥배나무의 세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지난 39년간의 토양 산성화, K+, Ca++, Mg++ 감소가 도시 외곽 도시림인 관악산 식생구조의 쇠퇴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 continuation of the 22 year consecutive study (1972~1993) to monitor community dynamics of forest in Mt. Kwanak.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urban forest management in the future by analyzing actual changes in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in Mt. Kwanak caused by urban environmental changes. For the past 39 years (1972~2010), average temperature increased by approximate between 1.1 and 1.7℃ and soil acidification (pH 5.40→4.50) and contents of K+ (0.67→0.25) and Ca++ (3.20→0.87) apparently tended to decrease. According to analysis importance percentage and DBH class of community types classified based on DCA, the succession stopped at Quercus mongolica for 39 years. In addition, the succession was expected to be held at Q. mongolica or to shift from Pinus densiflora to Q. mongolica and from Q. acutissima to Q. serrata. Size of trees growing in forest of Mt. Kwanak increased but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 of trees showed a downward trend for the 39 years and Styrax japonica and Sorbus alnifolia, which are indicator species, increased their dominance continuously. Decrease in contents of K+, Ca++, and Mg++ and soil acidification for the past 39 years was found to affect degradation of vegetation structure in Mt. Kwan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