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코스타 콘코디아 재난 경과 분석 보고서 KCI 등재

Analysis Report of the Elapse for Costa Concordia's Disaster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4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2012년 1월 13일 이탈리아 국적 초대형 여객선 코스타 콘코디아호가 부분 침몰되었다. 당시 해당 선박은 4,252명의 여객과 승무원이 승선하고 있었으며, 사고 며칠 후 30여명이 사망하였으며 사고 24시간 이후 두명의 한국인을 포함한 이탈리아 선원들이 극적으로 구조되었다. 2012년 6월 18일까지(본 논문 발표일 기준) 총 32명의 사망자와 64명의 부상자 등 총 10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해사안전 문제의 치유할 수 없는 사고가 발생되었고 현재까지 사고에 대한 조사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번 초대형 이탈리아 여객선 코스타 콘코디아호의 재난 경과 보고서로써 사고의 문제점, 원인, 향후 대책방안 등에 관하여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하나의 주된 결과로써 향후 이러한 초대형 여객 운반선의 경우 국제 해사 안전적 관점에서 혁신적이고 지능적인 선박 퇴선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On January 13th 2012 Italian flag Costa Concordia was partly sunk. The ship was carrying 4,252 passengers and crew; in the next few days the bodies of 30 people were found. Two are still missing. Two South Korean passengers and an Italian crew member was rescued from the ship on January 15th, more than 24 hours after the accident. As of June 18th 2012 (The date of presentation) around 32 people had not been accounted for. In this paper, it is viewed and pointed out the cause, problem, and implication for the future. As a result, intelligent innovative evacuation system for the VLPS (Very Large Passenger Ship) should be set up in terms of international maritime safety.

저자
  • 윤대근 | Yoon, Dae-Gwun
  • 김철승 | Kim, Cheol-Se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