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文讀法의 韓國的 特殊性 -句讀, 懸吐, 口訣- KCI 등재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Korean on the way of reading for Chinese characters -Punctuation, Commentary, Annotation-

한문독법의 한국적 특수성 -구두, 현토, 구결-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4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7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한글 創製이후 방대한 한문전적에 대한 諺解작업은 가속화되어, 四書三經으로 대변되는 經書의 諺解뿐 아니라, 『杜詩諺解』를 비롯하여 『武藝圖譜通志諺解』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걸쳐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文勢와 語脈을 파악해서 句讀를 떼고, 文義를 고려하여 口訣을 사용하여 懸吐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문전 적을 제대로 읽고 감상할 수 있다. 그럼에도 句讀와 懸吐, 口訣에 대한 연구는 별다른 진척이 없었던 상황이다. 최근 새로 발굴된 李森煥의 『句讀指南』, 任圭直의 『句讀解法』, 朴文鎬의 『俚讀解』는 句讀와 懸吐, 口訣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자료로서, 당시 이와 관련한 學派혹은 學脈을 대변한다. 우리의 句讀는 중국과는 다르며, 특히 懸吐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따라서 句讀를 구분하더라도 어떠한 吐(口訣)를 붙이느냐에 따라 그 내용과 의미는 전혀 달라진다. 새로 발굴된 자료를 바탕으로 句讀와 懸吐, 口訣의 내용과 특징을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1. 文義을 중시하며, 文勢와 語脈을 고려한다. 2. 행위의 주체, 서술의 주체, 時制, 態, 문장구조 등을 고려한다. 3. 虛字, 助辭등을 주목하고 우리의 언어표현(尊稱)을 고려한다. 4. 특정 學派혹은 學脈의 句讀와 懸吐, 口訣에 대한 인식을 대표한다. 李森煥의 『句讀指南』은 懸吐와 口訣을 개괄적으로 설명하고 助辭의 용법을 특기하여 간략하게 정리한다. 한편, 任圭直의 『句讀解法』은 그 내용과 체제가 상 세하고 체계적이며, 懸吐와 口訣은 그 사례가 다양하고 상세하다. 특히, 句讀와 懸吐, 口訣에서 文義를 중시하고 文勢와 語脈을 고려하였음을 보여준다. 끝으로 朴文鎬의 『俚讀解』는 문법이나 구조에 따른 기계적 설명과는 달리, 文勢와 語脈 을 십분 고려하여 축약한 형태이다. 이러한 자료들은 현대 국어의 문법과 그 연관 성을 조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판단된다. 더욱이 19세기 무렵 다방면에 걸쳐 문헌전적에 대한 수집· 정리 작업이 진행되었던 상황과도 일정정도 관련이 있다 고 하겠다.

Invention of Hangul, It was more speed up to interpret of Chinese characters, not only the Confucian classics but also dusianhae including muyebotongjienhae, processed with a wide variety fields. It will be appreciated through the force of literary style and the veins of word considering the meaning of a sentence. However, It was not a good situation to study in regards to Punctuation, Commentary and Annotation. Recently Lee sam-hwan and Park mun-ho’s new documents which got arranged systematically represents for relating schools or studies. Ours (Punctuation) are not the same as Chinese; especially it is closely related to Commentary. So classifying to Punctuation, it will be totally different meaning which depends on adding up tu or Annotation. It is the stories like that rely on new documents with Punctuation and Commentary. 1) It is an emphasis on the meaning of a sentence, considering the force of literary style and the veins of word. 2) The principal act, the subject of narrative, tense, sentence structure should be considered. 3) We focus on empty word and postposition and consider the language of presentation. 4) In particular schools or school ties , Commentary and Annotation represent for awareness. Lee sam-hwan’s Gudujinam explains Commentary and Annotation generally and arrange briefly with postposition’s usage. In addition, Lim Gyu-Jik's Guduhaebub has more details contents and systems so it is very variety examples with Commentary and Annotation. Especially It shows that Punctuation, Commentary, Annotation focus on the meaning of a sentence and consider the force of literary style and the veins of word. The last, Park Mun-Ho's Yiduhea comparing to grammar or structure’s explanation, it is an abbreviation about the force of literary style and the veins of word.

목차
1. 머리말
2. 諺解作業과 句讀, 懸吐, 口訣
3. 『句讀指南』․ 『句讀解法』․『俚讀解』의 內容과 特徵
4. 맺음말
저자
  • 최식(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BK21 연구교수) | Choi, S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