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방군인들의 고통체험 : Parse의 인간 되어감 연구방법 적용 KCI 등재

Experience the Suffering of Front-line Soldiers:Applied to Parse’s Human Becoming Research Methodolo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5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전방에서 군 생활을 했던 예비역들이 겪었던 고통의 구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연구방법:전방에서 군 생활을 했던 경험이 있던 예비역 10명과 2013년 3월부터 5월까지 두 달간 1~2회 대화를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이 전방에서 경험했던 고통체험에 대하여 반복되는 이야기나 더 이상 새로운 내용이 나오지 않는 포화상태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및 분석은 Parse의 인간되어감 이론의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다.결과:연구결과 전방에서 군 생활을 하며 겪었던 고통은 혹독한 추위 속에서의 생활, 자유가 박탈된 감옥 같은 생활, 북한이 언제든 공격할 것이라는 생각 등으로 나타났다. 이 고통체험들은 시간이 지나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자신의 인생에 밑거름이 되었고 기분 좋은 추억으로 남았다. 결론:군대에 정신보건 작업치료사들이 전문인력으로 배치되면 군인들의 심리적, 정신보건적인 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군 생활에 잘 적응하고 느끼는 고통을 줄이며, 나아가 자살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This study aimed at discovering the structure of suffering experienced through the military life of soldiers on a front-line.Methods:For this study, conversations with twelve soldiers who experienced military life at a front-line were carried from March to May 2013. The data were collected up to a saturation point, at which the stories become repetitive regarding the suffering experienced by participants in a front-line, or when no more new contents were discovere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of Parse’s human becoming theory.Results:As a result this research, the suffering of soldiers at a front-line were from severe cold, a loss of liberty, and worries about imminent attacks from North Korea. Over time, the suffering they experienced in their life and their social interactions became essential and remained pleasant memories.Conclusion:Mental health therapists are placed in the military to work professionally with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the soldiers, and mental health was shown to positively affect adaption to military life, a reduction in suffering, and the prevention of suicides.

저자
  • 장종식(극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Jang, Jong-Sik
  • 송병남(대전실버랜드 작업치료실) | Song, Byung-Nam
  • 차태현(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Cha, Tae-Hyu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