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분 조성이 다양한 벼 품종별 막걸리 품질 특성 KCI 등재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of Rice Cultivars with Different Starch Composi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9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영양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한국식품영양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Nutrition)
초록

국내 벼 품종 중 아밀로스 함량과 아밀로펙틴 조성이 다양한 품종의 막걸리 특성을 분석하여 막걸리 품질 고급화 및 다양화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고아미2호’, ‘고아미3호’, ‘고아미4호’는 품종별 전분 특성과 호화 특성 분석 결과, 낮은 아밀로펙틴 단쇄 비율과 높은 아밀로스 함량에 기인하여 점성이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높은 호화개시온도로 인해 가열흡수비와 팽창용적이 각각 2.09~2.13, 25.02~26.78 ㎤로 다른 품종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 막걸리 발효에 적합한 전분의 호화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어, 막걸리 제조를 위해 호화를 증진시키기 위한 가공 방법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품종별 막걸리의 품질 특성은 ‘설갱’, ‘백진주’, ‘일품’의 알코올 함량은 17.3~18.0% 범위로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나, ‘고아미2호’와 ‘고아미3호’, ‘고아미4호’는 10.0~10.5%로 상대적으로 낮은 알코올 함량을 나타내었고, 당도 또한 ‘설갱’, ‘백진주’, ‘일품’에 비해 절반 가까이 낮았으나, pH와 산도는 품종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원료곡에서 높은 난소화성 다당류 함량을 지닌 ‘고아미4호’ 등은 막걸리에서도 역시 난소화성 다당류 함량이 유의하게 높아, 향후 막걸리 제품으로 이용 시 건강 기능성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결과적으로 아밀로펙틴 조성과 난소화성 다당류 함량에서 차이를 보인 ‘고아미2호’, ‘고아미3호’, ‘고아미4호’ 막걸리의 높은 제조수율과 난소화성 다당류 함량 및 낮은 알코올 함량과 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지속적인 발효 공정 연구를 통해 국내 기능성 품종을 이용한 고품질 막걸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Makgeolli, known as takju, is a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which is native in Korea. It is made from various rice and other cereals.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quality of makgeolli from various rice cultivars according to different amylose contents and amylopectin compositions. The ‘Goami2’, ‘Goami3’, and ‘Goami4’ have high amylose contents and lower proportional degrees of polymerization (DP) 6~12 and higher proportions of DP 13~24 in amylopectin of milled rice. Various variations are shown in pasting properties (viscosities) and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and it is supposed to be related to both the amylose contents and the amylopectin compositions of raw rice. The makgeolli is being manufactured by using the 2-step-brewing method. The makgeolli is analyzed for alcohol contents, pH levels, total acids, Hunter color values and organic acid compositions. The makgeolli of ‘Goami2’, ‘Goami3’, and ‘Goami4’ have showed higher makgeolli yields, lower ethanol contents and less sweetness than other cultivars, and they also have high non-digestible carbohydrates contents which are derived from their high non-digestible carbohydrates contents in milled rice. Therefore, we are able to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akgeolli fermentation processes of ‘Goami2’, ‘Goami3’, and ‘Goami4’.

저자
  • 천아름(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Areum Chun Corresponding author
  • 김대중(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Dae-Jung Kim
  • 윤미라(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Mi-Ra Yoon
  • 오세관(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Sea-Kwan Oh
  • 최임수(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Im-Soo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