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추를 첨가한 드레싱의 제조 및 품질특성 KCI 등재 SCOPUS

Process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using jujube pure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1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초록

대추를 첨가한 드레싱의 제조와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드레싱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드레싱은 생대추를 박피, 제심하고 스팀 블랜칭, 마쇄하여 퓨레를 제조하고 이의 첨가량이 0, 10, 20, 30, 40, 50%가 되게 간장, 식초, 올리고당, 올리브유, 물 등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드레싱의 색도 중 L*값은 대추퓨레 10%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대추퓨레 첨가구들이 무첨가구 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a*값은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구의 수치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대추퓨레 첨가구 간에는 첨가량에 따라 수치가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보였고, b*값은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구 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총산도는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보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져 50%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점도는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구 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첨가구에서는 첨가량에 비례하여 점도가 증가하였다. 총페놀 함량은 대추퓨레의 첨가량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다. 항산화능의 척도인 DPPH radical 소거능은 대추퓨레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드레싱의 색, 냄새, 맛, 질감 및 종합적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대추퓨레 첨가구가 무첨가가 보다 좋게 평가되었고, 모든 평가 항목에서 대추 퓨레 30%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이로써 대추퓨레를 첨가한 드레싱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드레싱의 항산화능과 관능적 품질특성을 고려한 대추퓨레의 첨가량은 30% 정도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alad dressing using jujube (Zizyphus jujuba Miller) puree and to evaluate the process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alad dressing containing various amounts (0, 10, 20, 30, 40, and 50%) of jujube puree. Jujube puree was prepared by crushing peeled, deseeded and steamed fruit flesh. The dressing ingredients (jujube flesh puree, soy sauce, vinegar, oligosaccharide, olive oil, and water) were mixed, homogenized, and packaged in glass bottle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color property, total titratable acidity, soluble solids, viscosity, phenolic compound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acceptability) of the dressing were analyzed. The lightness (L*) and redness (a*) of the dressing tended to increase as the amount of the jujube puree increased whereas the hue angle (ho) decreased. The total titratable acidity, soluble solids, viscosity, 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dressing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more jujube puree. The sensory acceptability (color, smell,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ressing added with 30% added jujube puree than in the other samples. The results show that jujube flesh puree (approximately 30%) can be utilized as an additive for preparing a dressing with simultaneously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acceptability.

저자
  • 남궁란(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Ran Namgung
  • 박상아(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Sang-Ah Park
  • 안소정(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So-Jeong An
  • 이영현(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Young-Hyeon Lee
  • 김한수(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Han-Soo Kim
  • 이영근(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Young-Guen Lee
  • 성종환(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Jong-Hwan Seong
  • 정헌식(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Hun-Sik Ch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