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地方化時代와 地域敎育 KCI 등재

The area education and the localization er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3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地方化時代에 제7차 敎育課程은 모든 교과 교육의 地域化를 강조하고 있다.그런데 漢文科敎育課程에서 地域敎育의 반영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난다.따라서 ‘地域에 대한 敎育’이 요구된다.漢文科에서 地域敎育은 첫째,지역의 生活相을 형상화한 자료를 통하여 할 수 있다.둘째,지역인의 삶과 직결된 風俗을 통해서도 地域敎育이 가능하다.셋째,자신의 주변에 있는 景觀들을 다룬 작품을 학습하거나 직접 관찰하고 견학․조사하는 과정 속에서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다.넷째,자기 고장 출신의 人物에 대한 탐구는 학습자에게 흥미와 관심을 증대시키고,지역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살펴보게 하며,그것을 통해 愛鄕心을 고취시킬 수 있다.地域化에 호응한 구체적 활동이 地域敎育인데,地域敎育은 地域化라는 교육 목표에 도달함과 동시에,그 사회의 正體性확립과 그 지역의 傳統文化에 대한 理解를 제고시킨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그리고 劃一的인 교육보다 多樣性과 創意性을 존중하며 중심과 주변의 차별적 인식을 극복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educational world in the localization era emphasized localization of all education through the seventh curriculum. But it appears that in the curriculum of Chinese Classics, the Area Education is insufficient. Therefore education on the area is required. One of the contents for the Area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Chinese Classics is teaching through the data that describes the regional people's true picture of life. Second, the Area Education may be possible through customs directly related the people of that region. Third, the Area Education enables efficient learning because in the process of observing and examining the scenery around the learners, their interest and motivation is aroused. Fourth, the introduction of the people of that region increases learner’s interest and concern, and inculcates students with love of their home through making them see the regional people’s way of life. These kind of concrete activities are the Area Educa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reaches one of the educational purpose, or "localization" and promotes the society’s establishment of identity and understanding on the region’s traditional culture. And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respects creativity and diversity rather than uniform education and overcomes discriminative recognition which distinguishes the center and the outskirt.

목차
Ⅰ. 序論
Ⅱ. 地方化와 敎育課程
Ⅲ. 漢文科 敎育課程에서 地域敎育 樣相
Ⅳ. 漢文科의 地域敎育모색-內容을 중심으로-
Ⅴ. 結論
저자
  • 權赫鎭(강원대학교) | Kwon, Hyuk-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