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예재활실습 만족도가 화훼원예전공생의 관련분야 직업준비의사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Satisfaction for Horticulture Rehabilitation Practical Internship on Vocational Readiness Intention in Floriculture Major Stud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978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는 원예재활 실습만족이 화훼원예전공생들의 직업준비의사에 영향을 미칠까?라는 연구의문을 가지고 원예재활 실습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이들이 직업준비의사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연구절차는 선행연구를 통해 원예재활실습 구성요소를 심리적, 물리적, 교육적 범주로 14개의 변수를 도출하고 이를 현장에 맞게 조작적 정의를 내려 변수를 가공한 후 설문을 통해 실습에 참여한 화훼원예전공생 60명 전수를 대상으로 실증적 조사를 하였다. 조사의 내적 타당도와 측정도구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회귀분석을 통해 직업준비의사에 미치는 만족 요인을 분석했을 때 자격증제도와 체계화 된 교구재가 가장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화훼 원예 전공생이 원예재활을 직업으로 연계하려면 체계적인 시청각 교구재의 개발과 자격증 제도의 시스템과 같은 전문적인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는 원예재활프로그램의 정착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lements of horticulture rehabilitation that influence intent at employment.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What are the effect of horticulture rehabilitation practical internship satisfaction on vocational readiness intention in floriculture major student? the major of floriculture student were participated in horticulture rehabilitation program at March to June of 2013. After review of the horticulture rehabilitation practical internship, we constructed a literature framework and formulated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We have analyzed the data which surveyed 60 member about horticulture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ethod. We found that: 1)14 variables can be selected for the element of horticulture rehabilitation. Among the 14 independent variables used to study the element of horticulture rehabilitation practical program. 2)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 influencing satisfaction were 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one percent level. Regarding their relative contribution of vocational readiness intention, certification system and contents were important factors.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guidelines of horticulture rehabilitation practical program in floriculture major students.

저자
  • 김수연(나사렛대학교 플라워조경디자인학과) | Soo Yeo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