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 사이에 점점 더 많은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이 홍콩의 대학으로 진학을 하고 있다.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은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학습에서의 어려움, 특히 번체자의 인식에서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문은 홍콩 뱁피스트 대학(香港浸會大學)의 다른 소속 단과대학의 1학년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또 3년제와 4년제 등으로 구분하였다.그들은 보통화 수업을 수강하고 있으나 수업의 강의는 번체자로 구성되었고 시험 또한 가능한 많은 번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문은 그들의 답안지를 검토하고, 학생들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성적을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중국 본토 학생들의 번체자 쓰기에 대한 심리적 태도와 그 학습 능력, 교육과정, 교재, 교육방법 등의 일련의 교육 구상에 관련된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을 기대하였다.실험 결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간체와 번체의 유형별 원칙, 신구 자형, 이체자, 하나의 간체자에 다수의 번체자 대응 관계 현상과 규칙을 이해하였고,『簡化字總表第一表』·『第二表』와『第三表』의 간화 귀납 방식을 이해함으로써 간화자 총표를 이용하여 대응 번체자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수업 후의 실험을 통해 그들의 성적이 수업 전에 비해 월등이 향상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육자가 수업 중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수업 과정 속의 수업 내용을 변화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홍콩, 대만 등지에서 출판한 많은 번체자 서적을 더 많이 보았고, 간화자의 문장을 번체자로 바꾸어 써 봄으로써 어감을 높이기도 하고, “繁簡通”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간화자를 번체자로 변환하기도 함으로써 번체자의 학습과 쓰기의 여러움을 극복하였다. 이러한 교육활동은 중국 본토 학생들로 하여금 빠른 시간 안에 번체자를 학습하게 하여 학교 생활에 적응하고 홍콩 사회에 융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사실에서 그 가치를 지닌다.
近年來, 越來越多內地學生來香港就讀大學. 內地生須面對語言和文化的差異而造成的種種學習上的困難, 如他們不太懂繁體字. 本文以香港浸會大學一年級內地學生為研究對象, 他們來自不同學院, 分別是三年制和四年制學生. 他們雖然上普通話教學班, 但課程講義以繁體字編製, 考試時必須盡量用繁體字作答. 本文嘗試從問卷調查․學生的前測和後測的成績比較等方法, 分析․探討這些內地生學․寫繁體字的心態及其學習能力, 闡述其對課程․教材․教法所帶來的啟發. 結果發現, 他們經過上課․學習後, 了解繁․簡體字的類推原則․新舊字型․異體字․一簡多繁等現象與規律, 了解 <簡化字總表第一表>․<第二表> 和 <第三表>的歸納方法, 從而利用簡化字總表查檢相對應的繁體字. 他們的後測成績比前測成績提高很多. 另外, 授課教師在教學過程因應學生的需求, 微調課程的講授內容. 學生多看香港․台灣地區出版的繁體字書籍, 嘗試把簡化字的 文章用繁體字抄寫, 慢慢培養語感, 還可以透過 「繁簡通」 等電腦軟件, 輕鬆地將簡化 字轉換成繁體字, 從而解決繁體字學習和書寫上的困難. 這些教學活動幫助內地學生盡快掌握繁體字, 並適應校園生活, 融入香港社會.
Recently more and more mainland students further study in universities of Hong Kong. They must cope with difficulty caused by cultural divergence. Reading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s is one of their obstacles. The target group of this paper is a group of undergraduate (year 1) Mainland China students attending the teaching Mandarin programme and they are coming from different faculties of Hong Kong Baptist University. The teaching materials of this programme are written in traditional Chinese and the participating Mainland students are required to write traditional Chinese in the examinations. Through conducting questionnaire surveys as well as comparison of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this paper analyses and discuss the learning ability and attitude of these Mainland students. The findings will enlighten curriculum design,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pedagogy as instructors can adjust the teaching content according to the academic level of their students. It is found tha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me, students are able to grasp knowledge on, for example, the principle of analogizing traditional characters from the simplified one; new and old fonts; variants; one‐to‐more mapping between simplified and traditional form; the inductive method for the three master tables on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that could be used to check related traditional form etc. The scores in their post‐test are comparatively much higher than their pre‐test. In addition, the instructors have adjusted the teaching content in response to students’ needs. At the same time, students are encouraged to read more books written in traditional form published in Hong Kong and Taiwan; to write traditional form based on papers written in simplified form in order to nurture their sense of language in traditional form. Moreover, computer softwares, such as ‘繁簡通 (Fan‐jian Tong)’, have been introduced to students as self‐learning tools which are useful when they encounter read and write difficulties in traditional form. The programme and related activities help the Mainland students to grasp the traditional form of Chinese that, in return, facilitate the adaptation to their campus life as well as social inclusion in Hong Kong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