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과 마카오 지역에서 시행되는 유아교육과 초중등교육에서 시행되는 모든 교육은 번체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지역에서 출판되는 신문과 잡지 또한 대부 분 번체자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홍콩, 마카오 지역과 중국 대륙 사이의 교류가 점점 활발해 짐에 따라 민간에서 사용되는 간화자의 비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 며, 여러 곳에서 번체자와 간화자가 함께 사용되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홍 콩고시평가원에서는 공개적으로 공식적인 시험에서 표준화된 간화자를 사용할 수 있다고 명확히 표명하여, 홍콩의 중학생들의 학습과 한자 쓰기에 대한 심리적 태 도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홍콩대학생의 간화자 사용에 대한 정확한 상황을 조 사하기 위해서 우리는 설문지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하여 보았다. 우선 2백여 개의 상용 간화자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간화자 분별 능력을 조사하였고, 다시 5백 여개의 간화자를 선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어휘를 작성하여 학생들의 간화자 분별능력을 조사하였다. 세 번째로 백 여개의 간화를 이용하여 학생들이 간화자를 올 바르게 쓰는가를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홍콩과 마카오의 대학생들의 간화자에대한 분별 능력과 쓰기 능 력을 보여주었는데, 홍콩과 마카오 대학생 대부분이 중국 대륙의 간화자를 분별하 였으나 한자를 쓰는데 있어서는 종종 홍콩식 간화자, 곧 대륙의 간화자형이 아닌 간화자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는 향후 홍콩과 마카오의 어문 교육에 있어서 참 고할 만한 사실로, 한자쓰기 교육을 강화하여 학생들에게 홍콩식 간화자를 사용치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말해 주고 있다.
        5,800원
        2.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몇 년 사이에 점점 더 많은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이 홍콩의 대학으로 진학을 하고 있다.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은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학습에서의 어려움, 특히 번체자의 인식에서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문은 홍콩 뱁피스트 대학(香港浸會大學)의 다른 소속 단과대학의 1학년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또 3년제와 4년제 등으로 구분하였다.그들은 보통화 수업을 수강하고 있으나 수업의 강의는 번체자로 구성되었고 시험 또한 가능한 많은 번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문은 그들의 답안지를 검토하고, 학생들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성적을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중국 본토 학생들의 번체자 쓰기에 대한 심리적 태도와 그 학습 능력, 교육과정, 교재, 교육방법 등의 일련의 교육 구상에 관련된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을 기대하였다.실험 결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간체와 번체의 유형별 원칙, 신구 자형, 이체자, 하나의 간체자에 다수의 번체자 대응 관계 현상과 규칙을 이해하였고,『簡化字總表第一表』·『第二表』와『第三表』의 간화 귀납 방식을 이해함으로써 간화자 총표를 이용하여 대응 번체자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수업 후의 실험을 통해 그들의 성적이 수업 전에 비해 월등이 향상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육자가 수업 중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수업 과정 속의 수업 내용을 변화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홍콩, 대만 등지에서 출판한 많은 번체자 서적을 더 많이 보았고, 간화자의 문장을 번체자로 바꾸어 써 봄으로써 어감을 높이기도 하고, “繁簡通”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간화자를 번체자로 변환하기도 함으로써 번체자의 학습과 쓰기의 여러움을 극복하였다. 이러한 교육활동은 중국 본토 학생들로 하여금 빠른 시간 안에 번체자를 학습하게 하여 학교 생활에 적응하고 홍콩 사회에 융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사실에서 그 가치를 지닌다.
        5,400원
        3.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近年來,越來越多內地學生來香港就讀大學。內地生須面對語言和文化的差異而造成的種種學習上的困難。本論文嘗試從問卷調查、學生的前測和後測的成績比較等方法,分析、探討在香港浸會大學就讀的內地生學寫繁體字的心態及其學習能力,從而在教學過程因應需求微調課程的講授內容,幫助內地學生適應校園生活,儘快融入香港社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