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인 비원어민 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특징 연구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PCK of native Chinese speaking Korean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068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한국어문화교육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한국어문화교육학회 (The Society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초록

본 연구는 교사연구로서 교사 전문성과 깊은 관련이 있는 내용교수 지식(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소개하고, 비원어민 교사의 PCK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에서 개발한 범교과별 내용교수지식 분석 틀을 한국어 교육에 맞게 수정하여 분석준거를 마련하였다. 연구 대상은 KFL 상황인 중국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한족 교사 1인(A교사)과 조선족 교사 1인(B교사)이며, 수업녹음, 강의안, 학습 보조자료 및 두 차례에 걸친 면담 내용을 종합하여 교사별 PCK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두 교사의 PCK를 분석해 본 결과 교수학습 방법 면보다는 교과 내용 재구성 부분이 잘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 간의 차이를 고려한 수업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비원어민 교사로서 학습자 배경을 반영한 학습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두 교사의 차이점으로는 한족인 A교사와 조선족인 B교사가 인식하는 ‘한국어’에 대한 인식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인식 차이는 학습자에게도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두 교사의 학습 목표 설정에 따른 교과 내용 구성은 교사 개개인의 지식, 학습 경험 등을 통합하여 교사만의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구성하기에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In this research, as a means to improve teaching methodology, I will introduc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s well as the analysis framework develop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based on PCK. Lastly, I will suggest how to utilize PCK in the are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a native Chinese speaking Korean teacher(subject A) and a Chinese of Korean heritage teacher(subject B) teaching Korean language in China. Throughout this research I was able to observe various PCK properties through recordings, transcripts of lectures and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subject matter knowledge, all subjects were knowledgable, but in regard to pedagogical Knowledge were vice versa. And in the case of knowledge of learners subject A and B tended to make positive atmosphere because of better understanding of students' backgrounds. Additionally, it appeare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subject A and subject B over their thoughts about Korean language itself. And this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could effect learners.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비원어민 교사의 특징
2. 한국어 교육에서의 내용교수지식(PCK)
2.1 내용교수지식(PCK)에 대한 조작적 정의
2.2 내용교수지식(PCK)의 구성 요소
3.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3.2 교과 연구 대상
3.3 연구 절차
4. 연구 결과
4.1 교사의 내용교수지식 분석
4.2 비원어민 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특징
5. 결론
저자
  • 신은경(신라대학교) | Shin Oun-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