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교육 연구 논문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 분석을 통해 집단적 PCK (cPCK) 중 ‘특정 과 학 주제(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 이해 지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 대체 개념(오개념)과 관련된 지구과학 교육 연구 논문 22편을 선정하여 각각의 정의, 원 인(매커니즘), 그리고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기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 정신모형틀을 적용하 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실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메타 분석한 결과,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 화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온실 기체의 종류를 제한적으로 알고 있고, 온실 기체의 역할을 이해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실 효과의 발생을 환경오염이나 오존층의 변화와 관련지어 생각하고, 지표-대기의 열수지 평형과 온실 효과를 관련짓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지구 온난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메타 분석한 결과, 지구 온난화를 해수면 상승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지구 온난화의 발생을 환경오 염, 오존층의 변화, 빙하의 융해와 관련지어 생각하고, 지표-대기의 열수지 평형이 깨져 지구 온난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지구 온난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기후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이해를 메타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를 지구 온난화, 기상 변화, 기상 이변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는 것으 로 분석되었으며, 기후변화의 발생을 대기오염, 오존층의 파괴와 관련지어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후변화 가 우리 생활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잘못 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언어 네트워크 분석 을 통해 종합한 결과, 집단적 PCK로서 3가지 정신모형(범주적 오해, 기제적 오해, 위계적 오해)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 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과학 교사 PCK 개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CK required for science teachers and PCK required for university teacher educators in terms of school science knowledg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role of science educators, which are the main axes of science education in future school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is a follow-up to a previous stage of research that explored the prospects for changes in schools in the future (2040-2050) in terms of school knowledge, educational methods, and teacher role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qualitative and semantic network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rive and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CK and PCK. As for the main research results, science teacher PCK in future schools should include expertise in organizing science classes centered on convergence topics, expertise in digital platforms and ICT use, and expertise in building a network of learning communities and resources, as part of the expertise of human teachers differentiated from AI. Teacher educators' PCK includes expertise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L methods using AI, expertise in th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and practice, and expertise in developing preservice teachers’ research competencies. Discussed in the conclusion is the change in teacher PCK and teacher educator PCK with changes in science knowledge, such as convergence-type knowledge and cognition-value integrated knowledge; and the need to emphasize values, attitudes, and ethical judgments for the coexistence of humans and non-humans as school science knowledge in the post-humanism future society.
이 연구는 한국 교회의 1세대 선교학자들 중에 이광순 교수에 대한 연구이다. 전재옥, 전호진, 강승삼, 이태웅 등과 더불어 이광순 교수는 한국 선교학자의 1세대에 속한다. 그는 1986년 풀러에서 박사 학위 취득 후 장신대에서 가르쳤으며 많은 예장 통합 선교사 훈련에 참여했다. 이 연구는 이광순 박사의 선교학과 예장 통합 선교사들과 한국 교회에 대한 공헌을 이해하고자 했다. 이것을 위해 본인은 이 박사의 연구논문들과 저서들과 박사 학위 논문을 참고했다. 본인은 우선 그 이전의 두 명의 장신대 선교 관련 교수들에 대해 간략히 고찰한 뒤에 그의 생애와 사역을 정리했다. 그 뒤에 본인은 그의 연구 주제들을 여섯 개의 주제와 몇 개의 작은 주제들로 정리했다. 마지막으로 본인은 이광순 박사의 사역에 대해 논의했다. 이광순 박사와 그의 연구가 영어권에서 비교적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그의 생활과 사역을 보다 자세히 살펴 보았다. 이 연구는 이신형의 선행 연구보다 광범위하게 이광순 박사에 대해 살폈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of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Korean English classes from 2005 to 2019 across ten journal articles, two master’s theses, two doctoral dissertations, and five research reports. This was intended to provide hint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English PCK studies. Six criteria—subject-matter knowledge, pedagogical knowledge, learner knowledge, curriculum knowledge, social context knowledge, and action research knowledge— have been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selected English PCK stud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Study on the subject-matter knowledge was the most frequent, appearing in 15 studies, mainly dealing with linguistic knowledge. In the field of pedagogical knowledge, studies on class design were most common, and in the field of learner knowledge, learner background and learner characteristics were equally studied. In the social context knowledge field, there were relatively few studies on parents, and in the field of action research knowledge, the number of studies corresponding to three sub-factors was the same. Our study concludes that to systematize the study of PCK for teacher professionalism in the subject matter of English, English PCK education should be done in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institutions and that PCK research environments should be provided to this end.
To test the muscle cell specific gene expression, we examined the ability of human α-skeletal muscle actin (ACTA) promoter or human myoglobin (hMb) promoter to direct the expression of the GFP gene in both muscle and non-muscle cells, respectively. C2C12 cells, a mouse myoblast cell line, provide a powerful model to study skeletal muscle differentiation in vitro. We intended to use this cell line as a model for skeletal muscle-specific gene expression during myogenic differentiation from myoblast to myotubes. We compared marker gene expression profiles of proliferating and differentiated C2C12 cells using RT-PCR and fluorescent microscopy analysis. Also, we found that the expression of PCK1 gene under the control of ACTA promoter was proportionally increased as C2C12 differentiated into myotube form. PCK1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gluconeogenesis. In previous research, transgenic mice with overexpressing PCK1 in skeletal muscle showed a greatly enhanced level of physical activity, which extends well into old age. This is due, in part, to an increased number of mitochondria and a high concentration of triglyceride in their skeletal muscles. These mice also had very little body fat, despite eating 60% more than controls. We also constructed a mesenchymal stem cell line and fetal fibroblast cell line for the experiments aiming to make transgenic animals in which the PCK1 gene is specifically expressed in muscle tissue. Accumulated knowledge of this approach could be applicable to a variety of related biological areas including transgenic animal research, gene function study, anti-aging study, etc.
This work was supported by 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and Forestry (IPET) through Export Promo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 funded by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316002-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science content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hown in the primary school science classes. Through analysis of classroom teaching, explore the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PCK. Using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and group discussions on a regular basis to analyze and compare classes of five primary school teachers, the relationship between CK and PCK. Regardless of the school level the teacher's PCK and professionalism is required with varying focus and emphasis. The features of the primary school teacher's PCK are as follows: Firstly, elementary teach secondary teach content, teachers value pedagogical knowledge (PK) content knowledge (CK). The primary school PCK requires more of understanding of students and teaching methods that to subject areas. PCK be without content knowledge, and the teacher's PCK is subject-specific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PCK in the primary school science teaching, ways to set up professional exchange or collabora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and to provide supplementary in-service training focused on content knowledge for primary school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enomena of teaching writing in Korean as a foreign or a second language, and to propose contents and methods for improving teachers’ ability of teaching writing. I presented 3 reasons that mainly cause the difficulty in teaching writing for nonnative speakers of Korean. Among the reasons, teachers’ lack of confidence and insufficiency of expertise in teaching writing is the most important one which we have to compensate in terms of improving teachers’ ability. First, in chapter Ⅱ, I analyzed the trend of teaching writing in Korean as an L2,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training for teachers-to-b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ext, in chapter Ⅲ, I defined the concept of ‘ability of teaching writing’, and summarized the categories of the ability. Finally, in chapter Ⅳ, I suggested the contents and methods for improving teachers’ ability of teaching writing with regard to teachers’ expertise. Specially, I focused not only on the pedagogic content knowledge (PCK), but also on the content knowledge (CK). In this paper, I explored teacher education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 for better teaching Korean as an L2. However, this paper remains only as a pioneer attempt at teacher education research for the area is not fully discussed yet.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teaching performance of junior secondary language teachers based on the tests administered during the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 and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both variables. It involved 124 junior secondary school teachers, consisting of 70 Indonesian language teachers and 54 English language teachers, from various schools in West Java Province, Indonesia. To organize research procedures, this study adopted a descriptive method use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eacher participation program, their curren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performance based on the test results. Findings show that PCK has a strong correlation with teaching performance. However, other factors such as employment status, academic qualification, and ag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mastery of those two main variables. A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gauge more sound findings.
교과교육학지식(PCK)은 과학 교사의 전문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인식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주제-특정적 PCK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교사들의 PCK를 명시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분석틀을 개발 및 적용하여 예비 및 현직 지구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동일 주제에 대한 PCK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서로 다른 2개 주제에 대한 PCK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각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 주제에 대한 예비 교사와 현직 지구과학 교사의 PCK는 구성 요소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로 다른 주제에 대한 PCK의 변화는 경향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구성 요소 및 교사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PCK의 주제-특정성을 확인하였으며, 과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및 평가에 PCK분석틀 및 프로파일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연구로서 교사 전문성과 깊은 관련이 있는 내용교수 지식(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를 소개하고, 비원어민 교사의 PCK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에서 개발한 범교과별 내용교수지식 분석 틀을 한국어 교육에 맞게 수정하여 분석준거를 마련하였다. 연구 대상은 KFL 상황인 중국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한족 교사 1인(A교사)과 조선족 교사 1인(B교사)이며, 수업녹음, 강의안, 학습 보조자료 및 두 차례에 걸친 면담 내용을 종합하여 교사별 PCK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두 교사의 PCK를 분석해 본 결과 교수학습 방법 면보다는 교과 내용 재구성 부분이 잘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 간의 차이를 고려한 수업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비원어민 교사로서 학습자 배경을 반영한 학습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두 교사의 차이점으로는 한족인 A교사와 조선족인 B교사가 인식하는 ‘한국어’에 대한 인식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인식 차이는 학습자에게도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두 교사의 학습 목표 설정에 따른 교과 내용 구성은 교사 개개인의 지식, 학습 경험 등을 통합하여 교사만의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구성하기에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들의 과학실험수업 유형 실행에 영향을 미친 PCK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7차 4, 5, 6학년 과학과 교과서 및 지도서를 실험수업 유형별로 분류하여 실험수업 유형을 선정하고, 적절한 차시를 선정하여 초등교사 5인의 실제 실험수업을 녹화하여 전사 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수행한 실험수업과 과학과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실험수업이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수업 실시 후에는 면담을 통해 교사가 가진 PCK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교 교과서 및 지도서에는 발견, 확인, 탐색, 연구실험수업의 실험수업 유형이 모두 나타나며, 발견실험수업과 연구실험수업 유형이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들이 실제 수행하는 실험수업 유형은 과학과 교과서 및 지도서에 제시된 실험수업 유형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사들의 PCK 분석 결과 교사들의 수업 실행에 교사의 PCK가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실 현장에 가면 곧 부딪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원리적인 이해와 접근의 필요성을 근대언어학의 큰 흐름을 중심으로 몇 가지 짚어본다. 특히 언어규칙(소위 문법)지도문제에서 (1) 기술문법 vs 규범문법 이슈를 통해, 보수적인 사고와 진보적인 관과의 대립양상이, 자신들이 가르치고 있는 언어/영어현상에서 어떻게, 또 현장에서 자신의 문제로 어떻게 드러날 수 있는가를 생각해보게 하는 것 중심으로, (2)구어와 문어의 차이와 그 관계를 포함해, 관(우위에 대한 관)의 변화를 통해 언어 특히 영어 교사가 끊임없이 고민하며 균형을 취해야 할 과제에 대한 이해, (3) 그리고 그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덕목 중, 학습자 이해를 위해 갖추어야 할 전공자로서의 tool--오류분석의 연습--을 활용 적용할 수 있는 능력배양의 필요성 등을 짚어 보이며, ‘진정 교실 친화적이고 현장에서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는 영어교사의 모습’을 구체적인 영어 사례와 함께 그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