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코칭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부적응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KCI 등재

An Research on the effects that coaching has on forming self worth -Based on students who are not well adjust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15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코칭연구 (Journal of Korean Coaching Research)
한국코칭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초록

본 연구는 코칭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1:1 코칭으로 진행되었으며, 학습은 물론 무기력과 지각, 결석 등의 잦은 부적의 현상을 나타내고 있는 학교 현장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은 경기도 Y시에 소재하는 H인문계 고등학교 1,2학년 33명을 대상으로 학교의 추천과 대상학생의 신청을 통해 선발하였다. 대상학생들은 학교와 학부모의 동의를 얻어 주 1회 50분씩 4회기 동안 코칭 전의 자기 진단을 통해 1:1코칭을 실시하였으며, 코칭 후의 자가진단으로 대상학생의 코칭 전과 후의 가치변화를 확인하여 코칭 실시 전 후의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생활 적용에 있어 1:1코칭을 통한 이들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코칭의 효과를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치 있는 도구로서의 정보를 제공하고자하였다.나아가 검사도구인 d-test를 실시한 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미한 향상의 효과는 1: 1 코칭이 부적응 청소년들에게 자아존중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검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나 평생교육원,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부적응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코칭 보급화에 대한 가능성과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하였다.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s one on one coaching to find out whether or not coaching has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teenagers, with developing their self worth and adjusting to school. The subjects are 33, 10th and 11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who has problem in learning because of lethargy, lateness, absence from a academic high school located in Yong In Si, Gyeonggi Do. (With the permission from the school and the students who is volunteered.) With the permission from the school and their parents, these subjects went through 4 times, 50 minutes long coaching session per 1 week throughout self-evaluation and they were asked to do a self evaluation on their state before and after of the coaching session. As an adaption in school life I wanted to check the result of possibility of change through one on one coaching and planned to notice the information of the coaching effects as a method of guide of school life adaption. To measure the subjects’ extent of self worth, d-test was taken out before and after the coaching sessions. The result of the d-test was, that there was noticeable improvements in the coaching sessions and that the coaching sessions were effective in the students gaining and improving their self worth.Based on the result, I have intended to explain my opinion about the possibility of coaching dissemination, the limits of the research and following study in coaching Sessions in school, continuing education schools, and social welfare facility for the maladjusted students.

저자
  • 이정숙(동방대학원 대학교 교육학과 박사과정) | Lee Jeong Soo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