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간 서비스중복에 관한 인식 연구 - 오산시 사회복지서비스 실천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Recognition of Duplication of Services between Delivery Systems of Social Welfare Services - Focused on Social Welfare Workers in Osan-si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6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간 서비스중복에 대한 실천가들의 인식을 통해 서비스중복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의미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한 질적 연구로서, 연구의 참여자는 경기도 오산시 사회복지 기관(시설)에서 근무하는 실천가 5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13년 1월부터 2013년 4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수집방법은 일대일 심층인터뷰로 이루어졌다. 인터뷰 횟수는 2회~4회이며, 1회 인터뷰 시간은 1시간~1시간 40분이었다. 자료수집과 자료분석은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Giorgi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근무하는 실천가들은 서비스중복에 관한 인식에 본질적 요소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3개와 하위구성요소 14개의 주제로 구조화 되었다.3개의 주제는 조직차원, 지역사회 차원, 국가 차원 3개의 구성요소와 14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14개의 하위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조직 차원에 4개의 하위구성요소로 ‘종사자 업무과다’, ‘기관장(대표)의 인식 부족’, ‘시설(기관)의 장기적 종합계획의 부재’, ‘대상자를 고유 정보로 인식’으로 도출되었고, 지역사회 차원의 5개의 하위구성요소는 ‘대상자 정보 공유 미비’, ‘네트워크를 위한 공식적 기구 부재’, ‘사회복지 유사서비스 제공기관 증가’, ‘행정기관의 무책임성’, ‘시설 간 네트워크 노력 미비’로 도출되었고, 국가 차원의 5개의 하위구성요소는 ‘관련 법 부족’, ‘평가제도의 문제점’, ‘복잡하고 다양한 복지욕구의 증가’, ‘복지기관(시설)의 투명성 강조’, ‘복지 자원의 한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간 서비스중복에 대한 심층적인 의미와 이해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 향후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간의 서비스중복을 개선하는 정책의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more empirical meaning and understanding of duplication of services through the recognition of social welfare workers on duplication of services between delivery systems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the local community.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using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ive social welfare workers working in a social service agency (facility) located in Osan-si, Gyeonggi-do, South Korea. In addi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anuary and April 2013, and th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y an empirical one-on-one interview.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to four times, and eac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one hour and forty minutes.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data analysis applied the Giorgi method. As a result, the social welfare workers working in the delivery system of social welfare services were structuralized to the subject of three components and fourteen sub components consisting of essential components in recognition of the duplication of services.The three subjects were derived as the three components such as organizational, local community and national levels and fourteen sub components and fourteen sub components. The fourteen sub components were derived as follows:First, it was four sub components in the organizational level such as 'excessive workload for workers', 'lack of organization chief (representative) awareness', 'absence of long-term comprehensive plan of facility (agency)' and 'recognition of target as idiosyncratic information'. Second, the five sub components in the local community level were derived as 'inadequacy of information sharing on targets', 'absence of official organization for network', 'increase in agencies providing similar social welfare services', 'irresponsibility of administrative agencies', and 'inadequacy of efforts to create a network between facilities'. Third, the five sub components in the national level were derived as 'shortage of relevant laws', 'problems with evaluation systems', 'increase in complex and diverse welfare needs', 'emphasis on transparency of welfare agencies (facilities)', and 'limitations of welfare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to provide empirical meaning and understanding of duplication of services between delivery systems of social welfare services, and in the future will provide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policies to improve the duplication of services between delivery systems of social welfare services in the local communit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 목적
  3. 연구의 한계성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2. 서비스중복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대상자 선정 및 자료수집
  3.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상주(오산대학교 사회복지행정과 조교수) | Lee, Sang-joo
  • 노상은(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과정) | Roh, Sang-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