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1920~30년대 울릉도 관련 신문기사를 통해 본 강원도

Gangwon-do from the perspective of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Ulleungdo in 1920s to 1930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7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이사부와 동해 (The Review of Isabu and East Sea)
한국이사부학회 (The korean isabu society)
초록

울릉도 독도는 6세기 이사부의 우산국 정벌 시기부터 고려, 조선을 거쳐 대한 제국기인 1905년까지 강원도 관할 하에 있었다. 강원도 지역민들은 고대 때부터 육안으로 '울릉도 독도'를 바라보며 '우산국' '무릉도 우산도'라 불러온 같은 생활 권역에 있다. 일제 침략과정에서 울릉도 독도와 지리적, 역사적, 생활문화적으로 연속선상에 있던 강원도를 배제하고 부산, 포항으로 해상교통 거점을 의도적으로 바꾸면서 행정의 연속성을 흔들어놓았다. 1906년 행정구역 편제로 강원도 관할에서 경상남도로 이관되었으며, 1914년엔 경상북도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울릉도 독도가 타 시도로 이관된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교류 양상이 어떻게 전개되고 인식되었는지 1920~30년대 신문 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1920~30년대 󰡔동아일보󰡕에 실린 울릉도 관련 기사 164건을 대상으로 강원도 부분이 어떻게 서술되어 있는지 분석한 결과 행정 및 민원 관련 기사는 강원도와 무관하였으나 실생활과 역사성을 다룬 기사에서 서술되고 있었다. 첫 번째는 울릉도 입도 과정, 해상 조난 등 사건 사고, 태풍과 같은 기상, 경제 활동 등 실생활과 밀접한 뉴스에 나타나고 있다. 1920~30년대 경상도 부산항이나 포항항, 함경도 원산항에서 울릉도를 입출항할 때 강원도 울진 앞 바다까지 북상 내지 남하하여 동쪽으로 선회하고 있어 최단거리 항구인 울진 죽변항이나 삼척 임원항은 여전히 중요 항구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두 번째는 역사, 전설을 다룬 기사에서 강원도 관련 내용이 풍부하게 서술되고 있다. 울릉도 역사 서술의 첫머리에 하슬라군주 이사부 활약 및 고려 때 강원인의 이주 시도, 삼척영장과 월송만호 수토, 개척령 시기 강원인 이주 등 강원도 역사와 중첩돼 환기되고 있다. 울릉도 태하리 성하신당 전설은 강원도 수토사를 수행 해왔다가 풍랑으로 익사한 강원도 하급관리의 희생을 기리는 공간이었으나 이후 울릉도사람들의 무사안전을 기원하는 신앙처로 윤색되어 전승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릉도가 강원도 행정관할에서 타도로 이관되면서 각종교류도 위축되었으나 1920~30년대 울릉도 관련 신문기사를 통해 실생활 차원의 교류는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역사성도 언론을 통해 수시로 환기되고 기억되고 있다. 현재 강원도는 울릉도 독도와 행정구역을 달리하고 있지만 최근 인적교류가 가장 활발한 곳으로 위치를 다시 점하며 교류거점으로 재부상되는 역사성이 발휘되고 있다.

Ulleungdo Dokdo had been under the jurisdiction of Gangwon-do (Gangwon Province) since the conquest of Usanguk by Isabu in the 6th century, throughout Goryeo and Joseon, until the era of the Great Han Empire in 1905. From ancient times, the residents of Gangwon-do could see Ulleungdo Dokdo with their naked eye and they shared the same sphere of living with what they called 'Usanguk, 'Mureungdo' 'Usando'.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Gangwon-do, which was put on a par with Ulluengdo Dokdo in terms of geography, history and living culture, was excluded and the continuity of administration was put in jeopardy by intendedly changing the base of maritime transportation to Busan and Pohang. In 1906, it was transferred from the jurisdiction of Gangwon-do to Gyeongsangnam-do due to 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 and at present, it is now under the jurisdiction of Gyeongsangbuk-do since 1914. How the exchange condition was unfolded and perceived after Ulleungdo Dokdo was transferred to other jurisdiction and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examined using the newspapers of the 1920s and 1930s. The analysis of the description of Gangwon-do using 164 articles related to Ulleungdo in Dong-A daily newspaper from 1920s to 1930s, revealed that the articles related to the administration and civil affairs were unrelated to Gangwon-do, but it was well described in the articles related to real life and historicity. First, it appears in the news closely related to real life, such as the process of entering Ulleungdo (Island), maritime distress, accidents, typhoons and weather, economic activities, and more. It is revealed that Uljin Jukbyeon Port and Samcheok Imwon Port are still important ports with the shortest distance from Gyeongsang-do Busan and Pohang Ports, Hamgyeong-do Wonsan Port to Ulleungdo. Second, Gangwon-do is amply described in the articles on history and legend. Haseula governor Isabu's activities in the beginning of the description of Ulleungdo history, the attempt of Gangwon residents to move in the time of Goryeo, Samcheok Yeongjang (official) and Wolsong Manho (official)'s inspection (Suto), as well as the migration of Gangwon residents are described with the history of Gangwon-do. The legend of Taeha-ri Seonghashindang, Ulleungdo reveals that it was a place to pay a tribute to the sacrifice of minor official as Gangwon-do inspector (Sutosa) who was drowned due to the storm but it was embellished as a religious place for praying for the safety of Ulleungdo residents. As Ulleungdo was transferred from the jurisdiction of Gangwon-do to another province, all types of exchanges were reduced, but the exchanges concerning real life have continuously been found through th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Ulleungdo in the 1920s and 1930s, and the historicity also is often remembered through the media. At present, Gangwon-do and Ulleungdo Dokdo are under different jurisdictions. However, the historicity is reviving as the exchange base where the human exchange is most active recently.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1920~30년대 『동아일보』울릉도 관련 기사
Ⅲ. 울릉도 관련 기사 중 강원도 서술
  1. 항로와 생활상 서술
  2. 역사 서술
  3. 전설 서술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미현(강원도민일보 기획국장) | Park, Mi-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