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해안 의례의 지속과 변화

Consistency and Change of Rituals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7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이사부와 동해 (The Review of Isabu and East Sea)
한국이사부학회 (The korean isabu society)
초록

동해안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자연․지리적 공간인 해안을 기반으로 문화를 생성해냈다. 문화과 신앙은 세대를 이어가며 전승력을 지속하기도 하지만, 사회적 조건에 조응하면서 그 모습을 달리하기도 한다. 곧 전통을 지속하려는 힘과 변화된 상황에 대응하여 변동하려는 운동성이 서로 어우러져 또 다른 문화를 이루는 것이다. 동해안 지역의 별신굿 ․ 동제 ․ 뱃고사 등의 의례 또한 사회적 변화에 상응하 면서 의례의 전승주체에 의해 능동적으로 전승되어 왔다. 별신굿 ․ 동제 ․ 뱃고사 등의 의례는 동해안 사람들의 능동적 합의에 의해 존속하기 때문에 상징적인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전통적․형식적 행위로서 의례가 부정되고, 사회의 요구가 부재하다면 존속의 가치를 상실한다. 최근 동해안의 사회경제적 상황이 급격히 변화됨에 따라 의례가 축소되고 있다. 또한 경제적 침체와 신앙심의 약화로 인해 뱃고사는 점차 개인의 의례로 축소화되고, 동제의 의미가 퇴색하고 있으며, 별신굿의 주기도 길어지고 있다. 이것은 이전에 의례를 존속시켜 왔던 사회가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물론 의례의 양상도 단순하거나 획일적이지 않고, 매우 복잡다단하고 여러 가지 양상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동해안 공동체 의례의 지속과 변화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문화의 실체와 전승주체의 합의 과정을 주시해야 한다. 별신굿 ․ 동제 ․ 뱃고사 등의 동해안 공동체 의례는 전승주체들의 필요에 의해 선택되고, 전승주체의 인적․물적 변화에 따라 새로이 구성된다.

People living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have created the culture based on the seashore which is natural and geographical space. The culture and religion maintain the transmission power through generations but it may be changed by adapting to social conditions. In other words, mixing 'the consistency' power of tradition and 'change' movement responding to changing situation each other creates another culture. The rituals such as Byulshin-Gut, Dongje and Baetgosa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have been actively transmitted by the subject of transmission for the ritual while the ritual also have been corresponded to social changes. Because the rituals such as Byulshin-Gut, Dongje and Baetgosa are existed by active aggreement of people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it has a symbolic meaning. However, if the rituals are not admitted as traditional and formal actions and the demand from the society is absented, it loses the value of continuing to be existed. The rituals have been reduced according to rapid change of recent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s of the eastern coast of Korean. In addition, Baetgosa has been minimized as personal ritual due to economic depression and deterioration of faith, the meaning of Dongje has been debased, and the period of Byulshin-Gut has been longer. These directly represent that the previous society which have continued the ritual is changing. It is true that the condition of ritual is not either simple or uniform but complicated. It is also shown as various conditions. To continue the community rituals and understand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rituals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the process of agreement for the true nature of the culture and the subject of transmission must be closely watched. The community rituals such as Byulshin-Gut, Dongje and Baetgosa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are selected by the need of the subject of transmission and are newly formed by personal and physical changes of the subject of transmission.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동해안 의례의 양상
Ⅲ. 동해안 의례의 구성체
Ⅳ. 전승주체의 변화
Ⅴ.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윤동환(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 Youn, Dong-H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