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지적장애인의 성문제와 성교육적 접근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n sex related problems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ways to introduce sex education to th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284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성적 행동은 사회의 규범이나 태도에 의해 지배되며, 개인의 장애나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Mozat-Haller, 1992). 특히 지적장애인의 성에 대한 태도는 더 부정적이어서 그들의 성적 권리에 대하여 무시하거나(Heshusius, 1982; Liberatore, 1993; 권도용․나운환, 1994; 정진옥, 1996) 무관심한 것은 물론이고 다른 집단에서도 볼 수 있는 성적 문제를 지적장애라는 이유로 확대하거나 과장하기도 한다(Craft & Craft, 1981; 전용호, 1995; 이현혜․김정옥, 2003).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을 임상에서나 연구자들을 통해서 종종 볼 수 있다. 최근 지적장애인을 위한 성교육관련 연구들이 조금씩 진보를 하고 있으나 아직도 미흡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전문가 집단의 교육과 홍보 인식의 전환이 중요하고 본다. 이에 우리 사회복지사들은 자체 교육을 실시함과 동시에 학교나 지역사회에 이들을 위한 연계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인의 성 문제를 살펴보고 성교육적 접근 방안을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지적장애인을 위한 성교육적 접근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첫째, 교육 대상이 결정되면 대상별로 욕구조사를 한 후에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실시해야 한다. 둘째, 발달단계를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지체 정도에 따라 교육을 실시하면 보다 높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셋째, 학교, 성교육 전문가, 가정이 서로 연계되어야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넷째, 지적장애의 특성상 같은 주제라도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반복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다섯째, 성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성교육이 정기 과목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현재 한국성폭력상담소에서 각 학교단위로 성교육을 간헐적으로 실시하고 있지만 체계적인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에 대한 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지원을 받는 것에도 도움이 되며, 정규과목으로 채택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것들이 잘 보완되고 지원이 이루어져야만 지적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미흡하나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exual activity is influenced by social protocol and society’s attitude. It also is affected by personal defects and the environment(Mozat-Haller, 1992). Sexual activities by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met with much more critical attitude. Their sexual rights are often ignored (Heshusius, 1982; Liberatore, 1993) and disregarded. Moreover, just because they are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ex related problems that can occur within other groups tend to become over exaggerated(Craft & Craft, 1981). Such prejudice can often be sighted even in groups of experts like researchers and professionals in clinics. Recently there have been several breakthroughs in the research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however, the study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main insufficient. Thu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experts and there also needs to be a change in the perception when it comes to advertising. Social welfare groups should initiate education programs within their organizations while seeking ways to help schools and the communities at the same time.This research would like to propose introducing sex education to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social welfare perspective. First of all, once the subject of education is decided, contents of education should be formed and persecuted based on research on sexual impulse of different individuals. Higher effectiveness can be achieved by regularly checking the level of progress and by teaching accordingly with the seriousness of disability. Thirdly, effectiveness can be achieved if school, sex education expert and the family work together. Fourth,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even if the lesson is about the same theme, the teaching should be done continually and consistently. Sex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regular curriculum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s. Although sex education is executed by sexual violence relief centers to each schools sporadically within Korea, there is a need for a more organized education system.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hould be done regularly so as to receive assistance more easily. By doing so, it would help in getting sex education accepted as a regular curriculum. Such factors should be supplemented and supported so that the quality of life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uld be enhanced albeit slightl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1.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ies)에 대한 개념
  2. 지적장애인의 성
  3. 지적장애인의 성폭력 실태
  4. 지적장애인의 성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5. 지적장애인의 성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Ⅲ. 지적장애인의 성교육 개입 방안
  1. 지적장애인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경자(숭실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 수료) | Kyung Ja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