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남 남해안의 송국리형 주거문화 KCI 등재

The Songgukri-type residence in The south coast of Jeonnam provi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312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송국리형 주거는 한반도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주거로서, 다른 주거에 비해 가장 오랜 세월동안 축조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전통성·지속성·보편성을 가지는 주거라고 할 수 있다. 전남의 남해안지역은 진도·해남권역, 탐진강유역권역, 고흥반도권역, 여수반도권역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여수반도권역을 제외한 나머지 3개 권역은 영산강유역을 비롯한 호남지역의 송국리형 주거 문화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여수반도권역은 남강유역권과 인접해 있어 점이지대 혹은 문화적 동화나 융합의 성격이 강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남해안지역은 주거지에서 출토되는 유물의 양과 종류가 매우 한정적이고 빈약하다. 현재까지 탐진강유역이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유물군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 지역은 기원전 7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이미 대규모 취락을 형성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송국리형문화는 여수반도권역에서 기원을 전후한 시기까지 지속되고 있다. 제주도에서 나타나는 대규모 송국리형 취락은 영산강유역을 비롯한 전남 남해안지역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취락 형성기에 소위‘돼지코’형태의 주거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은 이를 방증한다. 그러나 물질문화에서는 제주도의 특색을 강하게 보이고 있어 취락형성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The Songgukri-type residence is a representative dwelling site of the Bronze Age in the KoreanPeninsular. Compared with other residential types, it was built for longer time. In other words,this dwelling site contains traditional, durable, and universal characteristics.The south coast of Jeonnam province can largely be divided into the four ranges of Jindo-Haenam, the Tamjin River basin, the Goheung peninsular, and the Yeosu peninsular. The resi-dential type of the above three areas except the Yeosu peninsular is not very different from thatof Songgukri, including the range of the Yeongsan River basin. The range of the Yeosu peninsu-lar was adjacent to the Nam River basin, so it is estimated that the region was a transition zone orboth regions shared strong cultural assimilation or fusion with each other.Quantities of various kinds of artifacts excavated in the south coast area are very limited. So far,the most varied and abundant remains have been unearthed in the Tamjin River basin. This areais estimated to have formed a large scale clustered-settlement around the 7th century B.C. ThisSonggukri culture had been continued in the range of the Yeosu peninsular until around thebeginning of A.D.The large scale Songgukri-type settlement on Jeju Island is presumed to be influenced by theresidential type of the south coast area and the Yeongsan River basin of the Honam area. Therewere lots of the pig’s nose-shaped types at the beginning of the settlement in Jeju Island, whichproves the influence of the residential type. However, artifacts found on Jeju Island show its ownmaterial culture, so a much more specific analysis is required for the clustered-settlement.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분포와 입지
  1. 분포군 설정
  2. 분포군별 입지
 Ⅲ 분포군별 주거 양상
  1. 진도·해남권역
  2. 탐진강유역권
  3. 고흥반도권역
  4. 여수반도 권역
 Ⅳ 전남 남해안의 송국리형 주거문화
  1. 주거의 특징
  2. 취락의 형성과 편년
  3. 제주지역과의 관계성
 Ⅴ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요약
저자
  • 李宗哲(전북대학교박물관) | 이종철